심근경색(MI) & 협심증(angina) 문헌고찰,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0.07.11
- 최종 저작일
- 2019.11
- 3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문헌고찰 및 검사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3, 간호과정3-5가지 포함되어있습니다.
A+리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angina 문헌고찰
3. MI 문헌고찰
4. 병태생리기전
5. 진단검사
6. 진단기준
7. 치료 및 간호
Ⅱ. 본 론
1. 간호사정
2. 검사 결과
3. 간호진단 및 과정
Ⅲ. 결 론
1.연구결과
2. 제언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산소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에 의해서 협심증을 유발하게 됨으로써 초래되며 이것은 허혈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증후군이다.
▷ 협심증을 유발시키는 요인과 병리적 기전
1)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
① 혈관 요인 (Vessel facterors)
-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을 일으키는 가장 일반적 인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 정서적 긴장, 흡연, 추위에 노출되면 관상동맥이 경련(spasm)으로 일시적인 관상동맥 협착을 초래 하여 흉통을 일으킨다.
- 관상동맥염(Coronary arteritis)이나 관상동맥의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도 흉통의 원인이다.
② 순환요인(Circulatory factors)
- 척추마취(spinal anesthesia), 항고혈압제의 사용, 혈액손실 등으로 인한 저혈압은 심장으로의 정맥귀환혈량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관상 순환에 영향을 준다.
- 대동맥 판막협착증이나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증(aortic insuffciency)에서는 전신이완기 혈압(diastolic BP)의 하강으로 관상 순환에 지장을 초래한다.
- 빈혈(anemia)과 저산소증은 심근에 산소유통을 감소시킨다.
- 다혈구증(polycythemia)은 혈액의 점도(Viscosity)를 높여 관상동맥의 순환을 지연시킨다.
2)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
- 운동, 정서, 과음, 과식, 생리적 요인
- 빈혈, 갑상선 기능항진증, 병리적 요인
3) 심근의 산소요구량의 증가
- 손상된 심근은 산소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다.
- 비대된 심근(Hypertrophied myocardium)은 정상 EO보다 산소요구량이 증가된다.
- 대동맥판 협착증이나 대동맥찬 폐쇄부전증은 심장의 이완말기에 압력을 상승시켜 심근의 부담을 초래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심맥관장애 대상자간호, 현문사
성인간호학, 퍼시픽북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snuh.orq/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5851&cid=55647&categoryId=55655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적 임상 경과-65세를 기준으로 =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on the basis of 65 Years
2014, 동신대학교 대학원, 이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