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노인심리학- 인지 능력
- 최초 등록일
- 2020.06.30
- 최종 저작일
- 2019.01
- 1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200원

판매자RUA**** (본인인증회원)

목차
1. 인지능력
1) 지능
2) 기억
3)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4) 인지적 변화의 개인차
본문내용
1_지능
1. 인지적 노화
1) 뇌의 퇴화에 따른 사고와 행동이 감소하게 된다.
2) 기본 인지 능력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나빠진다.
3) 연령 증가에 따라 인지적 감소가 일어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많은 경우 노인에게서 정신 기능이 유지되거나 심지어 증가하기까지 한다.
2. 지능의 정의
1) 목적에 맞게 행동하고, 합리적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집합적이고 총체적인 역량이다.
<중 략>
2_기억
8. 기억능력의 쇠퇴를 늦추기
1) 내적 기억 보조물
(1) 단어 암기를 위한 약호화, 주의 그리고 이완 책략 훈련
(2) 새로운 항목을 계속 변별하도록 가르치는 것과 같은 의식적으로 통제된 회상문제 훈련
(3) 단어들을 친숙한 경로에 있는 이정표가 되는 빌딩과 연합 시키는 장소법 등을 학습
2) 외적 기억 보조물
(1) 음성메일, 타이머, 녹음기 등을 사용하는 훈련
3) 내적 기억 보조물과 외적 기억 보조물에 대한 훈련이 자신이 젊을 때 만큼 기억이
좋지 않은 노인들에게 도움이 된다.
9. 노인의 기억을 더욱 나쁘게 평가하는 이유
1) 맥락적 관점에서 이해하지 못했다.
전통적인 실험실 연구는 성인기에 걸친 일상생활에서의 인지 과정을 고려하지 못했으며,
연령에 따른 맥락을 고려할 때에는 다르게 나타난다.
2) 인지의 적응적 본성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나이 들어 감에 따라 삶이 변해가며, 성공적 노화 란 그러한 변화들에 맞게 인지스타일을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Ex. 젊은이들은 특수한 사실이나 기술 습득에 중점을 두고, 노인은 자신의 지식을 젊은 세대에게
전수하고, 자신의 정보로부터 정서적 의미를 끌어내어 기존 지식과 통합하는데 초점을 둔다.
3) 노화와 기억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의 역할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