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작가론에 대한 모든것

*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6.24
최종 저작일
2019.06
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문학작가론에 대한 모든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최치원
2. 김부식과 정지상
3. 삼은
4. 여류문인
5. 작가들의 전반적인 삶과 느낀점

본문내용

최치원은 신라시대 말기의 학자이자 서예가이다. 최승우 · 최인연 등과 함께 신라 말기에 문명을 떨쳤던 삼최 중의 한 사람이다.
868년에 12세의 어린 나이로 도당 유학하였다. 어렸을 때 정민하였고 학문을 좋아했다 국자감의 태학에서 공부하면서 스승을 쫒아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18세에 유학 7년 만인 874년에 생도시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과거 합격 후 바로 관직에 나가지 못했는데 이 시기에 꾸준히 저술을 남겼다. 과거 합격 후 표수현위가 되기 전까지 2년간 동도인 낙양 등지를 유랑하면서 시작(詩作)에 몰두하여 금체시(今體詩)5수, 오언칠언금체시(五言七言今體詩) 100수, 잡시부(雜詩賦) 30수 등을 지었으며 표수현위에 임명된 이후에는 중산복궤집(中山覆簣集) 5권을 쓴 것으로 전한다. 짧은 시간에 많은 저술을 남길 정도로 문재(文才)가 뛰어났지만 당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문명(文名)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황소의 난(亂) 이후였다. 황소의 난이 발발하자 종사관으로 서기(書記)의 임무를 맡게 되었다.

서기의 임무를 맡은 이후 토황소격(討黃巢檄)을 비롯하여 각종 표(表)·장(狀)·서계(書啓)·징병(徵兵)·고격(告檄)·거첩(擧牒) 등의 문장을 모두 저술하여 당나라 전역에 문명을 떨치게 되었다.
29세 되던 885년에 신라로 돌아왔다. 귀국 후 당나라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신라의 발전을 위해 의욕적으로 노력했던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진골귀족 중심의 신분체제와 국정의 문란함을 깨닫고 외직(外職)을 자청하여 다시 사신으로 당나라에 가는 등 이때부터 이미 외직을 돌며 현실 정치에서 점점 멀어지는 행보를 보였다.

894년에 귀국 후 10여 년 동안의 신라 관직 생활을 통해서 알게 된 당시의 문란한 정치 상황을 개혁하기 위해 진성여왕에게 시무책(時務策) 10조를 올렸다. 그 공으로 6두품의 신분으로서는 최고의 관등인 아찬(阿飡)에까지 올랐으나 그 개혁안은 진골귀족들의 반발로 결국 실행되지 못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
*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A+ 과제 레포트 / 한국한문강독] 조선시대의 여류 시인 -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의 삶과 한시를 중심으로 6페이지
    한문강독 2013/12/05 주제별 한문 조사하기 조선시대의 여류 시인 ... 과목명 : 교수님 : 과 : 번 : 이 름 : 제출일 : 한국 ... 관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허엽의 가문은 성리뿐만이 아닌 열린 가풍을
  • 한글파일 [한문작가] 연암 박지원과 그의 문 15페이지
    集』 卷之七 別集 「?處稿序」 한문작가 연암은 굴원 같은 훌륭한 ... 한문작가 燕巖 朴趾源과 그의 文學 - 目 次 - 1. 연암의 생애 ... ) 북파(北學派) 3) 문체반정(文體反正) 3. 연암의 문 4. 작품선
  • 한글파일 고려 최고의 서정시인 이숭인 2페이지
    누구일까라고 질문해도 좋다. 좀 더 객관적인 답을 찾기 위해 한국한문 비평 ... 고려 최고의 서정시인 : 이숭인 한국의 한시사에서 별과 같이 빛났던
  • 한글파일 최자(崔滋)의 생애와 작품 9페이지
    - 고려후기 한문 비평양상 Ⅳ. 작가의 시대적 성향 비교 -이인로 ... . 넷째, 다른 고전문작가와의 비교를 통해 작가의 문을 이해. 본문 ... 뽑아 수록했으며 자신이 직접 지은 시를 넣기도 하였다. 이따금 작가
  • 한글파일 한국한문 - 박지원의 양반전을 중심으로 2페이지
    후 ‘당시의 상황과 마음을 대변하는 것‘. 한문의 특징 중 하나로 이 ... 느낀 바와 같이 한문은 누군가의 목소리를 대변해 주어야 한다. 그것은 ... 정서를 방대한 양으로 담아내고 있는 한문만이 가질 수 있는 특정한
  • 한글파일 여류시인 허난설헌, 이옥봉, 황진이, 신사임당 1페이지
    허난설헌 본명 초희. 명종 18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의 누나. 이달에게 시를 배워 8세 때 이미 시를 지었으며 천재적인 시재를 발휘하였다. 1577년 15세 때 김성립과 결혼하였으나 원만하지 못했다고 한다. 연이어 딸과 아들을 모두 잃고 오빠..
  • 한글파일 무신 집권기 대표 시인 이규보 3페이지
    이규보가 주장한 소위‘신의(新意論)’이라는 문과 그의 문 활동만큼은 ... 전기까지의 시평(詩評)과 시인을 다룬 동인시화(東人詩話) 에 소개된 것인데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한문학작가론에 대한 모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