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론 시장 & 한국 외환
- 최초 등록일
- 2020.06.21
- 최종 저작일
- 2020.06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금융시장론 시장 & 한국 외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금융시장의 의의
2. 채권
3. 금융정책
4. 금융위기
5. 단기 금융시장
본문내용
2. 채권
채권 -> 장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부담하는 채무를 표시하는 유가증권으로 일종의 차용증서
-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된다.
* 法이 發行 자격을 제한
1. 발행시에 지급해야 할 이자와 상환금이 정해진다.
- 확정이자 증권
2. 수익발생에 관계없이 이자 지급
- 이자지급 증권
3. 원리를 상환없이 미리 결정
- 기한부 증권
* 채권의 위험
1. 채무 불이행 위험
2. 시장 위험 : 자본 손실의 위험
< 중 략 >
3. 금융정책
1950年代
1. 한국은행 설립
2. 제 1차 화폐개혁
(원 -> 환 )
3. 산업은행
1960年代
1. 정부주도의 경제개발
2. 신용 배분 정책
3. 정부에 의해 많은 금융기관 설립
4. 적극적인 외자도입
5. 간접증권 규모 15%
1970年代
1. 정부주도의 경제개발
2. 72년 8.3 조치 (사채시장의 거대화)
3. 정부의 사채시장 동결
4. 단기금융기관 설립
5. 비통화 금융기관의 발전
-> 간접증권 규모가 통화량의 30%
-> 80년에는 간접증권 규모가 통화량의 50%
* 정책금융의 부작용
1. 민간부분의 자율성 저해
2. 통화 증가로 인한 물가상승
3. 중화학 공업 발전
4. 종합금융회사 : 국제업무 가능
1990年代
- 국제화
1. 9.3 금융거래 실명제
(부정부패 척결, 공평과세)
-> 금융종합소득과세
2. 이자소득
-분리과세
* 1960年代 ☞ 1970年代
1. 정부주도의 신용배분정책
2. 정책금융
3. 외환도입
4. 정부에 의한 금융기관 설립
5. 본격적인 경제개발
6. 공업화
7. 비통화 금융기관 발전 ( 제2금융권 )
8. 자본시장 육성
9. 중화학 공업
* 1980年代
자율화 -- 은행의 신설
-- 금융업무에 대한 규제 완화
-- 은행의 민영화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