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실습 케이스 : 뇌출혈, 성인간호학실습, 성인실습 A+
- 최초 등록일
- 2020.06.20
- 최종 저작일
- 2019.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냠냠냐암 (본인인증회원)

소개글
외상 중환자실로 성인실습을 갔을 때 '경막하 출혈'을 진단받으신 환자분을 대상으로
케이스 스터디 하였습니다! 페이지 수는 적지만 중요한 내용 모두 압축적으로 잘 들어가
있으니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 또한 간화과정도 꼼꼼하게 표로 작성되어서
한눈에 보시기 편할거예용!! 물론 A+자료이고 교수님의 피드백으로 완성도 높은 자료입니다!
목차
1. Domain Ⅰ: 사전학습(진단명 관련)
1) 해부와 생리(Anatomy & Physiology)
2)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질환의 진단법
2. Domain Ⅱ: 중환자실 입실 전 환자 사정 (사정일: 2019.01.08 )
1) 입실 전 환자 상태 파악(중환자실 입실이유가 무엇인가?)
2) V/S
3. Domain Ⅲ: 중환자실 간호
1) Assessment (간호과정 적용일: 2019.01.09 )
2)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간호문제를 모두 도출하시오.
3) 위 사정 내용을 바탕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간호문제 도출 후 간호과정을 적용하시오.
4) 투여 약물 및 수혈요법
본문내용
진단명: T-SDH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외상성 경막하 출혈)
중환자실 입실일: 2019.01.06
나이: 70.11
성별: M / F
F
Domain Ⅰ: 사전학습(진단명 관련)
■ 해부와 생리(Anatomy & Physiology)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뇌막이라고 한다. 뇌막은 총 3층의 구조로 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막은 두개골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매우 두껍고 치밀한 조직층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경막에는 감각 신경과 자율신경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두 번째 층에 위치한 지주막은 모양이 거미줄과 비슷하여 거미막이라고도 불리며 혈관이 없는 얇은 결합조직막이다. 연막과의 사이에 지주막하강이라는 공간은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다. 마지막 층인 연막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막으로 뇌표면에 있는 고량과 틈새를 따라 들어가 있다.
경막하 출혈은 경막과 지주막하 공간에 출혈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부학적으로 이 공간은 잠재적인 것으로 그 안에는 특별한 구조가 없으나 대뇌를 통과해서 흐르는 경막과 연막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정맥이 있는데, 이것은 특히 상시상정맥동 주위에 여러 개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외상에 의해 두개강 내의 뇌가 이동하면서 이 정맥들이 심하게 늘어나거나 당겨져서 파열이 될 수 있다.
■ 병태생리(Pathophysiology)
뇌는 체중의 2%밖에 안 되지만 분당 심박출량의 20%를 받으며 신체의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급성 경막하 출혈은 급성(acute), 아급성(subacute), 만성(chronic)으로 분류하는데, 급성은 외상 후 48시간 이내, 아급성은 24시간~2주, 만성은 2주후~몇 달에 증상이나 징후를 보일 때를 말한다.
먼저 급성 경막하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며......<중 략>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