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양면성
- 최초 등록일
- 2020.06.15
- 최종 저작일
- 2020.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대중문화의 양면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현대 대중문화의 경과
Ⅲ. 현대 대중문화의 양면성
1. 긍정적인 측면
2. 부정적인 측면
Ⅳ. 대중문화의 문제와 해결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중문화를 정의하기에 앞서 일단 문화란 단어를 정의해 봐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문화란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 생활방식’ 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한 시대나 집단의 지적이고 미학적인 요소만이 아니라 교육정도나 여가, 운동과 종교적 축제까지 포함하게 된다. 또 다른 시선은 문화는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라는 뜻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는 의미를 생산하거나 또는 의미생산의 근거가 되는 것을 그 주된 기능으로 하는 텍스트나 문화적 실천행위를 말한다. 이 경우 문화는 구조주의자들과 후기구조주의자들이 말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signifying practices' 와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 정의를 사용한 예를 보면 시나 소설, 발레 오페라, 그리고 순수미술을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문화라고 이야기 할 때는 대개 위의 2가지 문화의 정의를 사용한다. 첫 번째 의미로 특정한 생활방식이란 해변 가의 휴가나 크리스마스 축제 또는 젊은이의 하위문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을 보통 살아있는 문화 또는 문화적 실천행위라고 부른다.
참고 자료
원승룡,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2010
허버트 J. 갠스, 강현두 역,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나남, 1998
도날드 닷슨, [포풀러 컬처와 매스컬처의 차이], 강현두 편,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출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