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 하버마스 공론의 장 public sphere SNS를 통해 본 우리시대 희망 절망
- 최초 등록일
- 2020.06.13
- 최종 저작일
- 2010.07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gran******* (본인인증회원)
2회 판매
목차
1. 들어가며
2. 미디어의 권력화
3. 하버마스의 공론의 장
4. 관계지향적인 만남
5. 나오며
본문내용
들어가며
현대사회에서 미디어가 공론의 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 미디어의 본래적 목적은 간접민주주의의 보완에 있다. 정치지도자와 국민이 쌍뱡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의견의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하여 국민들이 자신들의 권한을 위임받는 대표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보다 완전한 절차적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목적을 상실한 채, 권력을 가지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새로운 공론의 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미디어의 권력화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권력에 대한 비판과 감시가 좀 더 자유롭게 되었다는데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미디어가 권력의 시녀로 작용하여 온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미디어는 권력으로부터 서서히 독립하기 시작하였고, 본래의 기능을 되찾기 시작하였다. 이제는 오히려 권력의 독단적 행사를 감시하고 부정과 부조리를 비판하는 경지에 이르고 있다.
참고 자료
사회비판과 대안,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서울:옹기장이, 2010)조항제,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미디어 독과점과 저널리즘의 위기』(한국언론정보학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