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스터디/대사성 산증/응급실 실습/ER 실습/A+/과탑의 케이스/사례연구
- 최초 등록일
- 2020.06.11
- 최종 저작일
- 2018.11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스터디/대사성 산증/응급실 실습/ER 실습/A+/과탑의 케이스/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ⅰ. 산-염기 개요
ⅱ. 대사성 산증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협동적 관리
5) 간호
Ⅱ. 대상자 사정
1. 개인력
2. 병력
3. 진단적 검사와 특수 치료
4. 투여 약물
Ⅲ. Mapping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대사성산증 : Metabolic acidosis]
ⅰ. 산-염기 개요
1) 산-염기의 정의
-산(acid):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이온(H⁺)을 유리하는 분자
-염기(base):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이온(H⁺)을 받아들이는 분자
2) 산-염기의 평형
: 산의 조절은 Input/Output 간의 평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정상범위는 pH=7.35~7.45이다.
⇒ pH6.8~7.35(acidosis) / pH7.45~8.0 (alkalosis)
- 휘발성 산(volatile acid) : 폐를 통해 배출되는 물질 (예: CO₂)
- 비휘발성 산(non-volatile acid) :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물질 (예: 황산, 인산 등)
- 인체는 체액의 완중체, 호흡, 신장 등을 통해 산-염기 평형을 조절한다.
완충제
(buffering system)
⦁완충제란 수용액에 산이나 염기를 더하거나 빼도 pH 변화를 최소화 시켜주는 물질을 말한다.
중탄산염 완충제
인산염 완충제
단백질 완충제
약산/짝염기
H₂CO₃/HCO₃⁻
H₂PO₄⁻/HPO₄²⁻
H-protein/protein⁻
주요 작용장소
ECF
Urine, ICF
ICF
해리상수
6.1
6.8
완충능력
낮다
높다
⇒ 중탄산염 완충제는 약산(H₂CO₃→CO₂)과 짝염기(HCO₃⁻)가 각각 폐와 신장을 통해 조절되어 매우 중요하다.
⇒ 인산염 완충제는 H⁺가 배설되기 위해 세뇨관으로 분비되면, 인산과 결합한 형태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 단백질 완충제는 세포내 단백질, 혈색소(Hb),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호흡 보상
(respiratory compensation)
-저환기(hypoventilation): 알칼리증에 대한 호흡 보상기전
: CO₂ 축적, H⁺ 증가 (산도 증가, pH감소)
-과다환기(hyperventilation): 산증에 대한 호흡 보상기전
: CO₂ 배출, H⁺ 감소 (pH 증가)
-pH 감소, 혈중 CO₂ 농도 증가는 연수의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환기를 증가시킴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 김금순 외(2016), 수문사
기본간호학Ⅰ, 송경애 외(2016), 수문사
기본간호학Ⅱ, 송경애 외(2016), 수문사
나이팅게일 핸드북,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포널스 출판사
핵심인체생리학, 고한철 외(2016), 은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