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기초이론및실험2 A+금나노입자의제조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6.10
- 최종 저작일
- 2019.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전형적인공대생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목차
1. Abstract
2. Experiment
3. Result & Discussion
4. Conclu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은 염화금산 용액에 포함된 금 분자를 3nm, 20nm 크기의 금 나노 입자로 합성해보는 실험이었다. 제조한 금 나노 입자를 바이알 병에 담은 후 레이저를 쏘아 콜로이드의 성질 중 하나인 틴들현상을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산란을 통해 입자의 크기를 측정해내는 DLS를 이용하여 합성한 입자의 크기를 측정했다. 3nm 입자와 20nm 입자는 각각 투명한 붉은 와인 색과 짙은 갈색을 띄었는데, 와인색은 적절한 금 나노 입자의 색이었지만 짙은 갈색은 적절한 색이 아니었다. 이는 20nm 금 나노 제조 실험 진행 중 TSC를 계산상의 실수로 넣어야 하는 양의 1/10만 투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으로 추측되는 3nm 입자에 레이저 포인터를 통해 틴들 현상을 관찰했다. 우리조가 만든 입자 중 교반을 한 것은 자주색이라고 하자니 더 연한 빛이었고 붉은색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자줏빛을 띠었다. 또한 교반을 하지 않은 것은 눈으로 보기에는 검정에 가까운 색을 띠고 있었다. DLS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교반을 한 것은 10nm정도의 크기를 가진 나노입자였으며 하지 않은 것은 40nm정도의 크기를 가진 나노입자였다. 이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curve를 얻어서 비교를 해 볼 수 있었다.
2. Experiment
실험은 2가지로 나누어져 진행했다. 이는 각각 3nm의 금 나노입자와 20nm 의 금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실험이었다는 것을 실험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실험진행에 앞서 실험에서 사용할 모든 비커 및 마그네틱 바에 왕수처리를 하였다. 그 이유는 이전에 실험했던 조에서 사용한 실험기구에 제조된 금 나노입자 및 이물질이 남아 있으면 실험결과에 큰 오차를 주기 때문인데, 이때 질산과 염산을 1:3의 비율로 제조한 왕수가 남아있던 금 나노 입자를 녹여버린다. 이 과정은 후드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비커에 각각 왕수를 담고 난 후 호일로 덮어서 증발을 방지하였다.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95220&cid=58341&categoryId=58341
화공기초이론및실험2, “6조 세미나 PPT”
화공기초이론및실험2, “실험노트 pdf“
http://zizel.net/60142031806
손민주, "분자영상용 방사성 금 나노 입자 합성 및 응용",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