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 최초 등록일
- 2020.06.09
- 최종 저작일
- 2013.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빙긔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소개글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뇨기계의 구조 및 기능
1) 신장
2) 네프론(신장의 기능적 단위)
3) 요관(ureter)
4) 방광(urinary bladder)
5) 요도(urethra)
2. 신부전(renal failure)
1) 급성신부전
2) 만성신부전
본문내용
1.신장
1) 구조
신장은 후복강내 척주의 양측 편에 위치한다. 성인 평균 신장의 길이는 11cm, 폭 5.0~7.5cm, 두께 2.5cm, 무게 150g의 강낭콩 모양이다. 피질, 수질, 신우로 구분하며, 신장의 기능적 단위는 네프론(nephron)으로 한쪽 신장에 100만개 이상의 네프론이 분포해 있다. 신장으로 유입되는 혈량은 분당 1L이상이며, 심박출량의 20~25%를 차지한다.
2) 기능
신장은 하루에 약 1.5L의 소변을 생성하는데, 사구체 여과, 세뇨관 재흡수(세뇨관에서 여과액에 99% 재흡수), 세뇨관 분비, 소변생성 의 과정을 거친다. 또 신장은 수분과 전해질 조절, 산-염기 균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압조절의 역할도 하는데 이는 레닌-안지오텐신계 반응을 통해 혈압의 상승을 초래하는 기전으로 이뤄진다.
· 혈청소듐치 저하, 심박출량 감소, 신허혈 → 레닌-안지오텐신, 알도스테론 체계로 혈압 상승초래.(저혈압→고혈압)
대사 및 내분비 기능에 관여한다.
활성 Vit.D로 장의 칼슘흡수 자극. 적혈구 조혈인자(erythropoietin)생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