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요점정리] 신체성 해리성 장애 요점정리 (간호사국가고시대비, 시험대비)
- 최초 등록일
- 2020.06.09
- 최종 저작일
- 2015.05
- 1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판매자narae****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목차
1. 신체형 · 해리성 장애 간호
2. 섬망, 치매 및 인지장애 간호 (간호중재 중요!)
3. 수면장애간호
4. 성 장애 간호
5. 아동 · 청소년 정신장애
6. 지역사회 정신건강
7. 위기 및 재난 간호
8. 자살과 간호
9. 상실과 슬픔
10. 법과 윤리
본문내용
13. 신체형 · 해리성 장애 간호
[신체형 장애]
Ⅰ. 개요
-정신신체
· 건강과 질병 상태에서 정신과 신체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
· 인간의 정신은 신체에 증상을 야기 시키거나 질병을 악화
· 실제로 정서적 요인에 의해 신체적 증상이 발병, 지속, 악화
· 스트레스와 정서에 의해 의학적 질병으로 영향 받음
-히스테리아
· 기질적 문제에 근거하지 않은 다양한 신체적 호소
-신체화
· 정신적 경험과 상태가 신체적인 증상으로 전이된 것
-신체형 장애
· 심리적 요소가 신체적 조건에 영향을 미쳐서 신체적 증상
· 억압된 정서적 갈등의 문제들이 신체적 기능상의 장애
· 명백한 병리적 소견 없음
신체화 장애: 신체적인 호소
전환 장애: 신체적 기능의 상실이나 장애
건강염려증: 자신이 질병을 갖고 있다는 두려움
신체변형: 장애 신체적 결함을 갖고 있다고 우려
동통 장애: 심리적 요인들이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형 장애의 특징
· 신체적인 호소를 하지만, 명백한 기질적 변화가 없다.
· 심리적 요인과 갈등이 증상의 발편, 악화, 유지의 주요 원인이다
· 증상과 확대된 건강관심을 환자가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
Ⅱ. 원인
1. 정신사회 이론
-내재화 : 스트레스, 불안을 외부로 표출보다 자신의 내부에 갖고있음
-신체화 : 내제화된 감정과 스트레스를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
(내재화, 신체화 모두 무의식적인 방어기제로 인식하거나 조절하지 못함)
-신체형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정서와 감정을 말로 직접적으로 쉽게 표현하지 못하고 대인관계 갈등을 매우 힘들어함
-악화된 신체증상으로 일차적, 이차적 이득을 얻고자 함
(일차적 이득 : 직접적인 외적이득으로 불안이 줄어듬)
(이차적 이득 : 내적, 인적이득으로 아파서 관심받는 것)
2. 생물학적 이론
-신체형 장애 환자는 자극을 해석하고 통제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과장된 감각 인식으로 인해 환자는 더욱 긴장되고 유해하고 장애를 갖게 되는 신체적 감각을 경험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