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경량소재 산업동향
- 최초 등록일
- 2020.06.09
- 최종 저작일
- 2020.03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자동차부품 산업 개요
2. 자동차 경량소재 산업 개요
3. 자동차 경량소재 시장 규모 및 전망
4.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경량화 동향
5. 알루미늄/플라스틱 소재의 자동차 경량화 현황
본문내용
1. 자동차부품 산업 개요
* 산업의 범위
ㅇ 자동차부품 산업은 자동차 차체, 자동차 엔진용 부품, 자동차 동력전달 장치 및 전기장치 등을 제조하는 산업
* 산업의 특성
ㅇ 자동차부품 산업은 자동차 산업의 후방산업으로서 완성차 제조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산업임
- 수요 대부분이 완성차 조립용인 중간재 산업으로 부품의 품질에 따라 완성차의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매우 중요함
ㅇ 제품 종류의 다양성 때문에 다수의 중소기업으로 산업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 완성차기업에 종속적인 납품거래를 유지하고 있음
- 자동차 1대는 2만 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완성차의 크기 및 기능에 따라 소요 부품이 다양하게 차별화되어 있음
ㅇ 전후방 연관산업이 다양하고 복합적인 산업임
- 전방산업인 완성차 제조산업과 더불어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전자, 비철금속, 철강, 화학, 섬유산업 등 연관산업이 다양함
* 산업의 위상
ㅇ 완성차와 부품을 합산 시, 자동차 산업은 국내 제조업 출하, 부가가치, 수출, 고용에서 모두 2위를 차지하는 국가 기간산업임
2. 자동차 경량소재 산업 개요
* 자동차 경량소재 개념 및 분류
ㅇ 경량화의 방법은 구조(Design), 공법(Processing), 소재(Materials)의 경량화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경량화 효율이 가장 높은 방식은 소재의 경량화임
ㅇ 자동차 경량화 구현을 위해 다양한 소재 적용이 이뤄질 수 있으나, 양산성 및 가격 경쟁력을 고려하면 고장력 강판, 알루미늄, 탄소섬유복합재가 산업계에서 적용되고 있는 소재임
- 철강소재는 자동차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금속재료로, 일반강판보다 인장강도를 개선한 고장력 강판이 주로 연구되고 있음
- 알루미늄의 밀도는 철강 소재 대비 약 1/3 수준으로 경량성이 탁월하며, 내식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철강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경량소재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