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무령왕릉 발굴의 고고 역사적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웅진 백제시대
1) 웅진 백제시대의 개막
2) 웅진 천도 이후 시기의 백제의 재도약
3. 무령왕릉 발견 및 발굴
1) 무령왕릉의 발견
2) 무령왕릉 발굴 당시 사건·사고
4. 무령왕릉 구조 및 내부
1) 무령왕릉의 구조
2) 무령왕릉의 내부
5. 무령왕릉 통해 알아보는 백제의 문화
6. 무령왕릉을 통해 알 수 있는 당시 백제의 대외관계
1) 신라 ·가야와의 관계
2) 왜와의 관계
3) 중국과의 관계
7.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수의 고분들은 도굴의 피해를 입은 경우가 많다. 특히 백제(百濟)의 경우에는 4세기 이후,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 형식이 보급되었는데, 이 무덤 방식은 출입 시설이 존재하여 도굴에 매우 취약하였다. 그 결과, 백제 고유의 유물들을 발견하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이 아닌 옛 고분을 통하여 백제사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1971년 여름, 우연한 계기로 새로이 발견된 무령왕릉(武零王陵)은 당시 우리나라에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하지만 여러 악조건적인 상황이 겹쳐져, 수 개월간을 걸쳐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할 왕릉 발굴 작업이 단 17시간 만에 끝나고 말았다. 그 결과, 유물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소실되어 돌이킬 수 없게 되었으며, 무령왕릉의 발굴 작업은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최악의 발굴로 기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령왕릉의 발견으로 무덤의 주인이었던, 백제의 무령왕과 그의 왕비가 다시 역사의 전면으로 부각되었다.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왕릉 가운데 피장자(被葬者)의 신원이 확인된 유일한 무덤으로, 이와 같은 발견으로 인하여 백제사와 백제 고고학(考古學) 연구가 활기를 띄게 된 점은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제는 웅진(熊津) 백제시대를 대표하는 왕인 무령왕대 백제사와 무령왕릉의 발견 및 발굴과정·무령왕릉의 세부적인 내용 및 무령왕릉을 통하여 볼 수 있는 당시 백제의 대외관계 등을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웅진 백제시대
1) 웅진 백제시대의 개막
5세기 고구려(高句麗)의 남하정책으로 인한 적극적인 공세로 인하여 백제의 개로왕(蓋鹵王)이 전사하였고, 한성(漢城)을 포함한 한강(漢江)유역 일대를 고구려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한성이 포위되기 직전 개로왕은 자신의 아들인 상좌평(上佐平) 여도(餘都)를 신라로 보내어 구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에 여도는 신라(新羅)로부터 구원을 요청하여 병사 1만 명을 얻어 한성으로 향하였다.
참고 자료
양기석,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03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게, 2005
이기동, 『백제의 역사』, 도서출판 주류성, 2006
국립공주박물관, 『武零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예맥출판사, 2007
이남석, 『百濟文化의 理解』, 서경문화사, 2007
노중국·권오영,『백제 역사와 문화』, 아디람, 2008
권오영, 『동아시아 문화강국 백제의 상징, 무령왕릉』, 일조각,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