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이 제2외국어 교육에서 기대하는 효과
- 최초 등록일
- 2020.06.03
- 최종 저작일
- 2017.04
- 1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소개글
세계화가 진행 중인 현대 사회에서 언어능력을 갖춘 세계시민으로 나아가기 위해 제 2외국어가 중요하게 요구됨에 따라 전략적인 외국어 교육 수립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사와 학생의 공통된 요구사항과 서로 다른 항목에서의 비교를 통해 적당한 타협을 이끌어내고 효과적인 교과 수업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제2외국어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기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양주 평내·호평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제 2외국어 교사 및 2·3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제2외국어 교육이 나아가야하는 방향에 대해 다룬 글입니다.
*제2외국어 교육관련 참고자료로 해당 연구를 공유합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동기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이론적배경
2. 본론
1) 연구 목표 설정
2) 연구 과정 설계
3) 연구과정
4) 연구결과
3.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본문내용
요약
세계화가 진행 중인 현대 사회에서 언어능력을 갖춘 세계시민으로 나아가기 위해 제 2외국어가 중요하게 요구됨에 따라 전략적인 외국어교육수립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사와 학생이 추구하는 제2외국어는 무엇이며,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을 이루기 위해 연구를 실시했다. 학생은 체계적인 학습과 실용적인 회화, 다양한 언어학습을 요구했고,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며 지속적인 학습을 이끌어나가기를 원한다. 따라서 서로 공통된 요구사항과 서로 다른 항목에서의 비교를 통해 적당한 타협을 이끌어내고 효과적인 교과 수업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1. 연구의 동기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대한민국의 현대 사회는 다문화와 세계화의 시대가 도래 했다.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란 다양한 언어를 섭렵하고 다양한 국가에 대한 이해를 넓혀 발전을 이끌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언어권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전반에 대해 지식을 지녀야 할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을 갖춘 전문가가 요구되는 시점이 현대사회라 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국어 교육의 강화가 필요한 시점임을 깨달았으며, 언어적 지식과 활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따라서 교육부의 교육정책과 현재 제 2외국어 교육에 대해서 교사와 학생들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외국어 수업에 임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궁금 해졌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원하는 외국어 수업과 교사들이 원하는 외국어 수업은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국어 교육 정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환기시키면서, 구체적으로 외국어 교육 정책 수립 사례를 분석하고 국제화 시대에 대비한 바람직한 외국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해야 한다. 영어에 편중된 언어 정책을 지양하고, 정보 유입 채널의 다변화와 다문화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외국어 학습을 지향하는 교육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국회 도서도서관 (http://www.nanet.go.kr/main.do)
: 제 7차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인식연구
http://dlps.nanet.go.kr/DlibViewer.do?cn=KDMT1200251558&sysid=nhn
: 국가의 장래를 위한 제 2외국어 교육정책
http://dlps.nanet.go.kr/DlibViewer.do?cn=KINX2003080708&sysid=nhn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 ‘새로운’ 제 2외국어 교육목표 설정의 필요성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53218819
Riss 학술정보지 (http://www.riss.kr/index.do)
: 제 2외국어 정책 방향 연구 : 중국어 교육과정 및 정책을 중심으로
http://dlps.nanet.go.kr/DlibViewer.do?cn=KDMT1201013515&sysid=nhn
: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의 발전방향.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52761010
경기도 교육청 (http://www.goe.go.kr/)
: 제 2외국어과 초중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