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여러 국가의 식품과학/공학 분야의 교과과정의 고찰과 지향점
- 최초 등록일
- 2020.05.30
- 최종 저작일
- 2020.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국과 일본, 미국의 교과과정을 소개하고 장단점을 나열 한뒤 비교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참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식품은 인간이 생명현상을 유지하고 지적인 활동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원천적인 에너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식품들의 본성과 이들의 적절한 이용이 관한 학문적 접근을 다양하게 모색하는 것이 식품과학의 대명제이다. 식품과학을 다루는 대학의 기본 목표는 식품의 식량문제에 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방법들과 이용을 위한 식품가공의 이론과 실제를 연마하는 것이다. 식품공학은 식품의 생산, 저장, 가공, 유통, 소비 및 인체의 건강에 관련된 종합과학 분야로서 대학에서 식품전반에 관한 학술적인 이론과 그 응용기술을 연구, 교육함으로써 식품 과학 분야의 우수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1).
국내 대학에 식품공학과가 설치되어 운영된 지도 어언 40여 년이 지난 현재 국내 4년제 대학 중 식품공학 및 식품가공학 관련 전공 또는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50여 개에 달하고 있다. 설립 당시와 비교하면 식품산업은 급변하게 발전하였고 식품공학의 영역도 생명공학 등을 포함하여 변화를 계속하여 왔다. 식품공학 분야의 미래 지향적이고도 창의적인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식품공학교육의 현주소와 교과과정 등을 분석하여 개선의 지표로 삼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라 생각된다.
참고 자료
백무열. (2008). 한국대학 식품과학·공학관련 전공학과의 교과과정. 식품과학과 산업, 41(4), 43-52.
한국식품과학회 간사회 우리나라 식품과학교육의 현황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3: 122-128 (1971).
한국식품과학회 교과과정 위원회. 우리나라 식품과학교육의 현황조사. 식품뉴우스 10(2): 30-38 (1978)
한국식품과학회 교과과정 위원회. 우리나라 식품과학교육의 현황조사(Ⅲ) 식품과학 13(3): 56-65 (1980).
장규섭. 식품과학 교과과정: 현황과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38(1): 51-71 (2005)
김명희, 고봉경, 김경헌, 이준수, 지근억. 북미지역의 식품과학/ 공학과 및 식품관련전공의 교과과정. 식품과학과 산업, 41(2), 39-52. (2008)
신원선. 일본대학의 식품과학·공학관련 교육 시스템. 식품과학과 산업, 41(4), 53-6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