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실 기자재 종류와 사용법
- 최초 등록일
- 2020.05.19
- 최종 저작일
- 2020.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학 실험실 기자재 종류와 사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subject]
2. 실험목적[purpose]
3.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3-1. 시료 측정 및 분석
3-2. 멸균 관련
3-3. 그 외의 기구
4. 인용문헌[reference]
본문내용
1. 실험제목[subject] : 미생물 실험실 기자재 종류와 사용법
2. 실험목적[purpose]
과학 연구와 실험에는 수많은 종류의 실험기구들이 이용된다. 이는 미생물 실험에서도 동일하며, 특히 미생물 실험에서는 멸균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를 위한 기구들이 추가적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인 전자기기들과는 달리 과학 실험에 사용되는 기자재는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사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실험에 사용될 기자재에 대한 사용법 숙지가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3.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3-1. 시료 측정 및 분석
1) micropipette
(1) 역할 및 특징
-소량의 용액이나 액체 시료를 옮기는데 사용되는 기구.
-스포이드와 비슷한 역할을 하나, 한번에 옮길 수 있는 양이 종류별로 다르며, 원하는 시료의 양을 미리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채집 가능한 시료의 최소, 최대치에 따라 종류가 다르며, 그에 따라 사용해야하는 tip의 종류도 다르다.
참고 자료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피펫. 10-1368112-0000. 2012-40-15. 2014-02-20
KOTITI Webzine 시험법 정보 Vol.15 No.24 . KOTITI 연구개발본부 정보교육지원팀.
김영환 외. (2016). 생명과학의 이해. ㈜바이오사이언스출판
Madigan, Bender, Buckley, Cattley, Stahl. (2019).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5th. Pearson
“벤슨-1장”. 한국미생물학회, 2020-05-13. http://msk.or.kr/msk/img/micro_lab_1p.pdf
홍승환 외. (2016). 필수세포생물학 4th. 교보문고
이동훈. (2020). “생태학개론 3주차 2교시 ppt”.
“물탄 알콜로 소독을 한다고?”. KISTI의 과학향기. 2004.10.13. 2020.05.13.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10100020/2004/10/010100020200410131510001.html
김현수. 소독제의 종류와 특성(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onal Endoscopy. Vol 41. 201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살균소독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살균소독제 [알코올계 등, 오존, 단체급식소] 안전관리방안 마련 (2007).
손병관. 소독제의 종류와 안전한 사용방법.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