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안보관점에서의 코로나19
- 최초 등록일
- 2020.05.15
- 최종 저작일
- 2020.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CORONA 19』발병 원인
Ⅱ.『CORONA 19』발병과 세계화 급속확산 현상 분석
Ⅲ.『CORONA 19』로 인한 피해 평가
Ⅳ. 각 국가별『CORONA 19』대처
Ⅴ. 국제 기구의 역할과 국제 협력 문제 및 반복가능성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Ⅵ.『CORONA 19』가 가져올 삶의 형태변화
Ⅶ.『CORONA 19』모범적 극복 국가
본문내용
Ⅰ. 『CORONA 19』발병 원인
2019년 연말부터 시작된 우한 발 『CORONA 19』(이하 ‘코로나19’) 인해 발병지인 중국 뿐만 아닌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위기에 빠져 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학계를 통해 공개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자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박쥐 유래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89.1%)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발병지로 여겨지고 있는 ‘우난 화난 수산물 도매시장’에서는 시장 명칭만을 수산물 시장이라 칭할 뿐, 온갖 야생동물 등까지도 산 채로 유통해 식재료로 팔고 있다.
가장 높은 상동성을 띄고 있는 박쥐 뿐만 아니라 우산뱀, 밍크. 천산갑 등 다양한 동물들을 판매하고 있고, 이 동물들을 도축, 유통, 섭취하는 과정에서 야생동물이 보균한 바이러스를 인간이 감염가능한 형태로 변이되었을 가능성을 유력한 원인으로 가설을 세운 상태이다.
실제로 이전의 사스와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의 시작은 야생 박쥐를 날것으로 섭취한 것이었고, 2019년 흑사병 발발도 5월엔 몽골에서 마멋의 생간, 11월엔 중국에서 야생 토끼를 먹음으로써 발병하였다.
인류의 불치병으로 해결하지 못한 숙제인 에이즈 또한 유인원 SIV가 사람에게 전염되면서 HIV의 기원이 되었다.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고 하며, 비말감염은 감염자가 기침·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에게 감염되는 것으로 통상 이동거리는 2m로 알려져 있다. 다른 가설로는 중국 관찰자망(观察者网)은 미국과학진흥협회 과학 전문 주간지‘사이언스(Science)’소식을 인용해 일부 학자가 영국 의학 저널‘랜싯(The Lancet)’에 발표한 논문을 근거로 코로나19 발원지인 우한 화난 해산물 도매시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
참고 자료
오늘의 세계경제(20.2.18/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 포커스(20.3.16/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20.2.28, 문현철 교수 논문)
G-20국가의 보건협력 방안 연구(16.6.30, 이상환/박광기 연구논문)
삼일회계법인 코로나 분석자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강추자료 A+)) 세계경제 성장률, 세계경제 위협 현황과 긴급재난지원금이 경기부양 정책효과에 미.. 10페이지
2020 코로나19 발병 리포트 <코로나19는 우리 일상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나?> 5페이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현황 및 국가별 대응전략[우한,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팬데믹,에피데믹,코.. 11페이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발생현황 및 국가별 대응방안 [우한폐렴,우한,신종코로나,코로나바이러스,COV-19.. 28페이지
A+학점, 코로나 바이러스가 주는 비즈니스 위협과 기회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