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 최초 등록일
- 2020.05.15
- 최종 저작일
- 2020.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진단주의
2. 기능주의
3. 양 학파의 평가
본문내용
1. 진단주의
진단주의의 기본 전제는 성격에 있어서 자아(ego)의 힘이 사회복지 원조에 따라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사회복지실천은 진단주의를 근거로 클라이언트의 성격 구조를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생활을 분석하고 나아가 현재의 자아기능을 해명하여 자아의 강화를 도모함으로써 사회환경에 대한 성격의 적응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즉 사회복지에 정신분석이론을 결합시켜 개념적 기초를 발전시켜 인간을 기계적 ․ 결정론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인간은 무의식의 힘에 의하여 좌우되며 유년기의 내면화된 부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보았다.
또한 진단주의 학파는 현재 심리사회적 접근 방식으로 불리며 심리사회 모델의 이론 발전에 공헌하였다.
2. 기능주의
기능주의는 1930년대 후반에 진단주의에 반기를 들고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학자 Otto Rank는 Freud의 인간관에 이의를 제기하여 인간은 그들 과거의 생산물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 계속적으로 창조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