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복지론) 청소년범죄"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서론1) 주제선정이유
2) 청소년 범죄의 개념
2. 본론
1) 청소년 범죄의 특성
2) 청소년 범죄의 원인
3) 청소년 범죄의 유형
4) 청소년 범죄의 현황
3. 결론
1) 청소년 범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선정이유청소년 관련 문제는 다양한 양상을 띤다. 또한 청소년 범죄에 대한 논의는 매번 뜨겁다. 아마 청소년 범죄에 대해 관대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과 함께 청소년 범죄의 경우 미성년자라는 이유와 함께 교화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청소년이라는 연령대에 대한 형벌에 대한 규정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차이를 두고 있다. 청소년 범죄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선정하고 나서 논의를 통해 이를 더 좁힐 것인지 아니면 처음 잡았던 청소년 범죄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그대로 이행할지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다. 결국 이 주제를 수용하기로 했고, 현대사회에 들어서 특히 규명되기 힘들며 애매한 부분에 대해서 특히 많은 조사와 논의를 통해 과제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이끌어 갔다. 청소년 범죄의 경우 학교와 연루되어 많이 발생하며, 청소년이라는 연령대의 사회적 위치는 대부분 학생이라는 신분의 위치에 속해 있으며 이는 부모, 지역사회, 학교 등 많은 자원과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자원과의 관계성을 통해 청소년들의 범죄가 어떤 양상을 띠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연구 성과를 통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성을 느꼈다. 비록 학도의 위치에서 학문적 접근으로 이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청소년 범죄의 유형과 현황, 특징 등을 통하여 미래의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사고력을 증진시키고자 이 문제를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김지선 외19,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KIC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p.136-137유호근 기자, 「“12년 만에 왜?”...‘밀양 여중생 성폭행 사건’ 재조명」, KBS News, 2016. 03. 08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44645&ref=A
이슈팀 기자, 「한공주, 밀양 여중생 사건 실제 가해자와 피해자 근황보니...“경악할 현실”」, 데일리한국, 2016. 03. 07
http://daily.hankooki.com/lpage/entv/201509/dh20150904112123139020.htm
임명수 기자, 「갈수록 꼬리 무는 의문들, 17세 소녀는 왜 인천 초등생을 죽였나」, 중앙일보, 2017. 07. 18
http://news.joins.com/article/21768501
「2017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7, p.406
권희경, 「한국폭력실택조사 주요 결과」, 한국교육개발원, 2017, p.1
서울신문 기자, 「천안 여중생 폭행사건...뺨때리고 발로 걷어차고, 영상 촬영해 유포까지」, 서울신문, 2017. 09. 18
김용희 기자, 「만능키로 인형뽑기방 지폐교환기 상습절도」, 광주일보, 2018. 03. 29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22249200627567006
윤정환 기자, 「주민등록증부터 공문서 위조까지 도 넘은 미성년 범죄」, 공감신문, 2017, 11. 06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30736
김찬양 기자,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목소리 점차 커져...」, YTN, 2017. 07. 03
http://www.ytn.co.kr/_ln/0103_201707311059219060
박상기, 「형사정책 제10편」, 서울 : 형사정책연구원, 2009, p.463
강경수, 「한국 청소년 범죄 실태분석을 통한 대책방안 연구」, 용인대학교, 2005, p.13, p.15-17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청소년범죄 10페이지
청소년관련법 3페이지
청소년범죄 문제점과 예방방안 제시 및 원인,특징,유형과 느낀점 9페이지
청소년범죄 발생 원인, 실태, 예방대책 11페이지
청소년 범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