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근현대사특강' 소논문으로 제출한 보고서입니다.
신채호가 민족주의에서 아나키즘으로 사상적 변환을 맞이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그의 아나키즘 사상을 <조선혁명선언> 분석을 통해 본문으로 나타내었습니다.
관련 단행본 및 자료를 살펴보고 열심히 정리한 소논문입니다.
<조선혁명선언> 역시 전문을 읽어본 뒤에 신채호의 아나키즘 사상에 맞는
문단들을 인용하여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민족주의에서 아나키즘으로
3. 신채호의 아나키즘
4. 「조선혁명선언」 속 신채호의 아나키즘
5. 맺음말
본문내용
앞으로 이어나갈 글에서는, 먼저 2장에서 신채호가 민족주의에서 아나키즘으로 사상적 변환을 맞이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어떤 배경이 있었기에 ‘국가’를 강조하던 그가 국가를 부정하게 되었는지를 볼 것이다. 3장에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리된 신채호의 아나키즘을 보고자 한다. 아나키즘에 입각한 민족해방운동론을 주장한 그가 내세운 민중직접혁명론을 중심으로 정리할 것이다. 4장에서는 그의 아나키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 <조선혁명선언>의 분석을 통해 신채호의 아나키즘 사상을 다시 한 번 정리하고자 한다. <조선혁명선언>은 ‘의열단과 관련된 것’, ‘신채호가 작성한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단체 중심의 선언서 내용에서 벗어나, 신채호라는 개인 인물의 사상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중 략>
이렇듯 신채호는 3·1운동 이후 아나키즘을 수용하기 시작했지만, 당시 공산주의와의 본질적인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등, 완전히 아나키즘을 수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자신이 아나키스트임을 부정하였다. 그가 자신을 아나키스트로 표방하며 아나키즘을 자신의 본격적인 사상으로 정립한 시기는 1921년 독립전쟁 노선을 포기하고 테러적 직접행동론을 자신의 주요 방법으로 삼으면서이다. 이후 <조선혁명선언>의 작성을 통해 아나키즘을 자신의 사상으로서 체계화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민족주의에서 동양주의와 세계주의를 비판한 것처럼, 아나키즘을 수용하면서도 서구의 아나키즘을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국가주의와 국수주의는 빈부격차를 낳고 이것이 심화되어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약육강식, 생존경쟁의 사회진화론을 뛰어 넘기 위한 정의, 인도, 평등, 평화의 상호부조론이 세계적 추세가 되었고 다수는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상호부조론을 등에 업었다. 신채호는 우리가 이를 또 다시 무분별하게 수용할 경우 일제의 침략 정책에 아무런 저항도 하지 못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신채호가 어렸을 적부터 공부했던 유학, 그가 경험한 농민봉기, 사회진화론 공부 등은 그가 애국을 강조하여 국가를 우선시하고 독립을 도모하는 민족주의의 배경이 되었다.
참고 자료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토지, 2018.
이호룡, 『신채호 다시 읽기』, 돌베개, 2013.
강주택, 「제2장 단재 신채호의 민족운동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11, 한국민족사상학회, 2017.
김희주, 「신채호의 사상과 소설의 문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81,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박걸순, 「단재 신채호의 아나키스트 활동과 일본 유적지」. 『중원문화연구』22,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4.
석인선, 「제1장 신채호의 역사관과 민족운동」, 『민족사상』11, 한국민족사상학회, 2017.
신복룡,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7,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주인석, 박병철, 「제4장 신채호의 ‘민족’과 ‘민중’에 대한 이해」, 『민족사상』5,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