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실험 레포트] 공중 낙하균 및 신체 미생물 배양
- 최초 등록일
- 2020.05.03
- 최종 저작일
- 2019.06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Principle
6. Materials
7. Methods
8. Results
9. Discussion
10. Projects
11.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 공중 낙하균 배양 및 신체 미생물 배양
2. Date :
3. Name:
4. Purpose : 실제 생활하면서 다른 곳에서 옮겨왔거나, 신체 내 자라고 있는 미생물들을 배양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5. Materials : Petri dish, LB agar, distilled water, 면봉, 유리막대
6. Principle :
미생물 :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한다. 조류(algae), 세균류(bacteria), 원생동물류(protozoa), 사상균류(fungi), 효모류(yeast)등이 속한다. 한계적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러스(virus)를 이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지구상 어디에서나 습기가 있는 곳에는 생육할 수 있으며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람을 비롯한 동식물에 질병을 가져오는 병원미생물, 독소를 생성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미생물, 의식주에 관계되는 각종 물질을 변질·부패시키는 원인 생물인 유해미생물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특유한 성질을 이용하여 식품·의약품, 그밖의 공업생산품 등 생산공업에도 많이 이용하며, 간편한 시설로 계속 배양시킬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미생물의 균주개발에는 유전자공학적인 방법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참고 자료
미생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6381&cid=40942&categoryId=32330
배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912&cid=40942&categoryId=32330
LB 배지
https://ko.wikipedia.org/wiki/Lb%EB%B0%B0%EC%A7%80
미생물 배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908&cid=60261&categoryId=60261
공중 세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738&cid=40942&categoryId=32333
황색포도상구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4606&cid=60261&categoryId=60261
응고효소음성 포도상구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6031&cid=60262&categoryId=60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