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lepsy 간질 케이스,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간호진단2, 신체손상위험성, 불안
- 최초 등록일
- 2020.04.26
- 최종 저작일
- 2019.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connect (본인인증회원)
14회 판매
소개글
"Epilepsy 간질 케이스,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참고문헌, 간호진단2, 신체손상위험성, 불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환의 이론적 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분류 및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8) 참고문헌
2. 상기 환아의 신체사정에서 주관적· 객관적 자료?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도출될 수 있는 간호진단은?
1) 질병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2) 치료되지 않는 발작과 관련된 부모의 불안
4. 시행되어야 하는 간호중재는?
1) 질병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2) 치료되지 않는 발작과 관련된 부모의 불안
본문내용
<사례>
6세 여아가 어머니와 함께 응급실로 왔다. 약 1시간 전 집에서 텔레비전을 보고 있던 중 갑자기 온몸이 비틀리고 흔들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환아는 활력징후는 BP 110/70mmHg, P 88회/분, R 20회/분, BT 37.0℃이다. 의식상태는 현재 명료하며 “괜찮다”며 묻는 말에 대답도 가능한 상태이다. 환아 팔다리는 모두 수의적이며 대칭적이고 자연스런 움직임을 보이고 근력도 완전한 관절운동이 가능할 정도이다. 어머니에 따르면 증상이 수 분간 지속되었다고 한다. 환아는phenobarbital 30㎎을 하루 2회 복용하고 있다고 한다. 환아 상태 관찰하던 중 추가 발작이 시작되었으며 어머니가 큰 소리로 의료진을 부르면서 걱정스런 표정을 하고 있다. 이 상황을 간호과정에 적용하여 보세요.
Ⅰ. 질환의 이론적 고찰
1. 정의
① 경련 : 뇌신경 세포의 갑작스럽고 조절할 수 없는 과방전으로 인하여 운동 장애, 감각 이상, 인지 장애 및 행동 이상 등이 나타나는 간헐적인 신경계 장애를 뜻한다.
② 발작 : 뇌의 신경원에서 전기에너지가 불수의적·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방전되는 것
③ 뇌전증(간질) : 이러한 경련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질환인데, 병적 뇌신경원의 발작적인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만성적·반복적 신경장애, 즉 경련, 감각, 정신 및 의식장애 증상을 말한다.
2. 원인
① 영아기 : 대사질환(유전성 또는 비유전성), 출생 몇 개월 전에 태내에서 입은 외상, 출생 직후 몇 주 내에 입은 외상, 심한 저산소증, 선천성 기형, 저칼슘혈증, 뇌감염(뇌염, 뇌수막염)
② 소아기 : 뇌감염(뇌염, 뇌수막염, 뇌농양), 뇌종양, 뇌혈관 질환, 뇌의 퇴행성 질환, 머리의 외상, 독성 물질에 의한 중독, 열성 경련, 선천성 뇌기형(피질형성이상)
③ 성인기 : 선천성 뇌기형(피질형성이상), 뇌종양(Brain Tumor), 머리의 외상, 뇌졸중, 뇌의 퇴행성 질환, 뇌혈관 질환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뇌전증(소아) [Epilepsy] (희귀질환정보)
김영혜 외, 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626-640p
MEG GULANICK 외, 20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