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민족주의 담론의 의미
- 최초 등록일
- 2020.04.21
- 최종 저작일
- 2020.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Ι. 서 론
1.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
2. 연구 방법
Ⅱ. 식민주의 문명화 담론과 준비론
1. 사회진화론 추종과 근대기획으로서 물질문명 추구
2. ‘정’에 의한 정신문명 추구와 식민주의 담론과의 균열
3. 유교와 물질문명 비판 이념: ‘정’
Ⅲ. 이광수 문학의 민족주의 담론의 의의
본문내용
Ι. 서 론
1.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
이광수(1892~1950)는 한국 근·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는다. 일제하에서 그의 민족주의 문학은 시대적 현실만큼 다양했고, 이에 대한 평가도 다양했다. 식민지 시대의 민족주의 담론은 당대 문학자뿐 아니라 지금의 식민지 문학 연구자들의 관심 분야라 할 수 있다. 식민지 시대의 민족주의 논의는 식민 지배 민족과 피식민 민족 자신을 뚜렷한 경계선으로 구분하고, 동일성을 규명하는 형태로 규정되어 왔다. 식민지인의 민족주의와 침략적 민족주의인 제국주의는 모두 ’동일성 또는 대립‘의 논리로 이루어져 왔었다. 그러나 식민지의 특수한 공간은 동일성 또는 대립의 논리만이 발생하는 장이 아니다. 식민지 장은 은 식민주의의 권력과 피식민자의 순수한 문화와 담론들이 교섭하는 충돌의 공간이다. 이런 공간에서 피식민자는 타자의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의 정체성을 고착시키지 않고, 교섭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한다. 식민지 장에서 이루어진 민족주의 담론 역시 동일성 또는 대립의 이분법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담론이 생성된다.
본고는 식민주의의 권력구조, 담론, 문화의 상관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이광수의 민족주의 담론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이런 관계 속에서 생성된 민족주의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이항대립의 관점에서 분석한 논의들이 간과한 부분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광수 문학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까지 계몽성과 민족의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 1990년대 이후 근대성에 대한 논의를 거쳐 문화론적 관점의 연구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이광수의 ‘민족주의’ 담론을 식민주의 구조에 의해 생산된 식민지 주체의 담론으로 규정한 논의들이 있다. 이광수의 민족주의는 이미 식민주의 담론에 포섭된 상태이므로, 그의 문학 전반이 일제의 식민주의 담론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견해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