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체재료실험]금속 미세 조직 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동소체. 금속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부식액의 역할과 그 결과
나. 광학현미경 혹은 금속현미경의 원리
다. 광학현미경의 장단점
라. 재료의 표면 작업 중 lapping, polishing에 대하여 차이점과 특징
3. 실험 결과
가. 시편의 미세조직 비교 분석
나. 미세조직의 특징
다. 미세조직과 측정 경도와의 관계
4. 토의 사항
가. 실험 고찰
나. 미세조직 관찰의 의미와 중요성: 실제 산업현장 측면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1. Normalizing과 Quenching의 금속 열처리 실험을 통해서 준비된 시편의 미세조직을 Polishing과 Etching을 통해 연마한 뒤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 변하는 금속 미세조직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동일 금속에서 시편의 열처리 방법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와 그 미세조직의 결정입자의 크기와 형상 등의 특징을 관찰하고 이것이 금속의 경도나 연성 등의 특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학습한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동소체
같은 종류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분자식이나 구조가 다른 물질, 즉 원자 번호는 같지만 중성자수가 다른 홑원소 물질을 동소체라고 한다. 즉, 단위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수가 다른 것, 또는 같은 화학조성을 가지지만 원자의 배열상태·결합양식이 다른 것을 서로 동소체라 한다.
<중 략>
2.2. 금속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부식액의 역할과 그 결과
에칭의 기본 목적은 광학적으로 결정립 크기, 상 등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부식이란 단어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금속의 표면을 화학적 방법 혹은 전기분해적 방법으로 차별침식을 시켜 세밀한 금속조직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식은 그 방법과 원리에 따라 precipitating(deposit) etching, heat tinting, chemical etching, electrolytic etching, anodizing, potentiostatic etching, magnetic etching, ion etching, thermal etching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우리는 단순히 부식액을 표면에 묻혀 부식시키는 chemical etching을 하는데, 이때 부식액으로..
<중 략>
참고 자료
Foundation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Smith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illiam D. Callister
마르텐사이트 [Martensite], 도금기술 용어사전, 2000. 6., 도서출판 노드미디어
베이나이트 [bainite], 금속용어사전, 1998. 1. 1., 성안당
펄라이트 [pearlite], 금속용어사전, 1998. 1. 1., 성안당
금속 조직 검사,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고체재료실험, 조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