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궁정문화,프랑스 살롱문화,유럽통합과 문화,이탈리아 르네상스,프랑스 르네상스,살롱문화와 전파,이탈리아 문화,프랑스 문화
- 최초 등록일
- 2020.04.17
- 최종 저작일
- 2020.04
- 41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6,000원

목차
1. 유럽통합과 문화와의 관계
2.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프랑스 전파
3. 프랑스 르네상스와 절대왕정
4. 프랑스 살롱문화와 전파
5. 결론
본문내용
1. 유럽통합과 문화와의 관계
유럽 문화?
에티켓(Etiquette) :
사회생활의 모든 경우와 장소에서 취해야 할 바람직한 행동양식
본시 프랑스어로서 예의범절을 익힌 사람이 왕실에 출입할 수 있는 티켓과 같은 것을 의미한 말에서 나온 것으로 전한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사회 고위층 인사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
프랑스어로 초기 로마시대에 왕과 귀족들이 보인 투철한 도덕의식과 솔선수범하는 공공정신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초기 로마 사회에서는 사회 고위층의 공공봉사와 기부·헌납 등의 전통이 강하였고, 이러한 행위는 의무인 동시에 명예로 인식되면서 자발적이고 경쟁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귀족 등의 고위층이 전쟁에 참여하는 전통은 더욱 확고했는데, 로마 건국 이후 500년 동안 원로원에서 귀족이 차지하는 비중이 15분의 1로 급격히 줄어든 것도 계속되는 전투 속에서 귀족들이 많이 희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귀족층의 솔선수범과 희생에 힘입어 로마는 고대 세계의 맹주로 자리할 수 있었으나, 제정(帝政) 이후 권력이 개인에게 집중되고 도덕적으로 해이해지면서 발전의 역동성이 급속히 쇠퇴한 것으로 역사학자들은 평가하고 있다. [출처] 노블레스 오블리주 | 두산백과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회적으로 지위를 가진 사람들은 그들의 지위만큼 사회에 대한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특권에는 반드시 책임이 따르고 고귀한 신분일수록 의무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귀족사회를 지키려는 일종의 방책일 수도 있지만 도덕적 의무를 다하려는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 자세는 국민정신을 결집시키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이탈리아 문화
프랑스 문화
유럽 문화
유럽 문화는 고대 4대 문화 발상지보다는 분명 늦게 형성된 문화 지역이기는 하지만 그 어느 문화보다는 근세 이후 세계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문화이다. 마스트리히트회담(1991.12) 이후 유럽통합의 움직임은 단일시장의 구축, 유럽통화기구, 그리고 유럽중앙은행 설립 등 경제적인 통합을 강조한 방향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유럽통합을 너무 경제적인 관점에 의해서만 바라보는 것은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아무리 경제적인 이유가 크다고 할지라도 서로 다른 전통과 문화를 가진 국가들이 연합한다는 것은, 분명 커다란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고 어쩌면 이루어질 수 없는 망상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유럽통합이 현재의 모습과 같이 기능했던 요인을 경제적인 필요성 뿐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공통점과 이유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유럽통합을 역사와 문화의 차원에서 살펴보기로 하되, 르네상스 문화가 발발하고 전파되는 시기를 초점으로 두었다.
참고 자료
이영림, 『루이 14세는 없다』.푸른역사, 2009
임승휘, 『절대왕정의 탄생』, 살림, 2007
이종완, 『유럽의 살롱문화』, 공주대학교출판사, 2000
야콥 부르크하르트, 이기숙 역,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한길사, 2003,
서정복, 「18세기 계몽사상의 전파-살롱을 통하여」『서양사학연구』3, 한국서양문화사학회, 1999
탁지현, 「카트린 드 메디치가 프랑스 문화예술에 이룬 업적」,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 21집 제 1호(통권 제 34호), 2010
곽동준, 『프랑스의 바로크 수용과 거부, 부산대학교출판사』, 2005
서정복 , 『살롱문화』, 살림, 2003
서정복, 「프랑스 살롱의 기원과 문화적 역할」『프랑스문화예술연구』 9, 2003
서정복, 「살롱을 통한 18세기 프랑스 계몽사상의 전파」『전북사학』 21, 1999
송기정, 「18세기 프랑스의 살롱문화와 여성의 문화정체성」『한국프랑스학논집』 76, 2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