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재해석 김대우 감독 ‘방자전’,'음란서생' 자료
- 최초 등록일
- 2020.04.16
- 최종 저작일
- 2017.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방자전
1) 줄거리 및 소개
2) 제목의 의미
3) 고전의 재해석
4) 인물 분석 및 상징
5) 미장센
6) 느낀 점
2. 음란서생
1) 줄거리 및 소개
2) 제목의 의미
3) 고전작품으로서의 요소
4) 인물분석
5) 상징
6) 느낀 점
본문내용
-방자전
1. 줄거리 및 소개
은밀한 色, 농익은 해학, 과감한 상상! 방자, 춘향을 품다. 도련님 또한 그녀를 눈여겨본다는 사실에 마음을 접으려 하지만, 자신을 하대하는 몽룡의 태도에 적개심으로 춘향에. 춘향 역시 방자의 남자다움과, 마침내 방자는 춘향을 품게 된다. 하지만, 신분 상승의 꿈을 접을 수 없는 춘향은 몽룡이 과거 시험을 위해 한양으로 떠나기 전 정인 서약을 맺고, 방자는 이를 알면서도 춘향에 . 그러던 어느 날, 장원 급제한 몽룡이 돌아와 춘향에게 더 큰 출세를 위해 모종의 거래를 제안하게 되는데… '춘향전 본색을 드러내다' ,춘향x몽룡 구도에서 춘향x방자 구도로 바꾸어 이몽룡을 악역으로, 코믹하고 안타깝게 표현한 작품.
2. 제목의 의미
이몽룡과 춘향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를 그린 ‘고소설 춘향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방자전’은 기존의 춘향의 관점을 이몽룡의 몸종 ‘방자’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만들어진 영화이다. 따라서 ‘방자전’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
3. 고전의 재해석
영화 방자전은, 춘향이와 이몽룡의 가슴 아픈 사랑이야기를 그린 고전 소설 ‘춘향전’을 ‘방자’의 입장에서 전개한 영화이다. 등장인물은 기존에 나왔던 인물들이 그대로 나오며, 내용의 큰 틀 또한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1. 춘향전 : 방자는 향단이를 좋아한다.
방자전 : 방자가 춘향이를 사랑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