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나일론합성, 접촉각 측정 실험 (73.25/80)
- 최초 등록일
- 2020.04.14
- 최종 저작일
- 2019.04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판매자ljn6479 (본인인증회원)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나일론6,10을 제조를 통해 고분자 합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장비를 통해 접촉각을 측정함으로써 표면장력을 계산해 볼 수 있다.
2. 실험 이론
고분자 중합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공정은 벌크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현탁중합이며 이를 4대 중합공정이라 한다.
벌크중합이란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중합방법으로 오직 단량체와 개시제만 넣고 반응을 진행한다. 고순도의 고분자를 얻을 수 있으며 분리가 쉽지만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기 내부 열처리가 어려워 중합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용액중합은 용매를 사용하는 중합방법이며 용매가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중합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을 처리할 수 있어 반응기 내부의 온도, 점도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중합 후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사슬이동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유화중합은 소수성인 단량체와 수용성인 개시제, 계면활성제와 물을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반응이 균일하고 중합속도가 빠르지만 고분자를 정제하는 후속공정이 요구되며 계면활성제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현탁 중합은 소수성인 단량체와 개시제를 사용하며 매우 작은크기의 단량체를 비활성 매질에 분산시켜 중합하는 방법으로 열 제거가 용이하고 적당한 크기의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지만 연속공정이 어렵고 접착성 고분자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3. 실험 방법
1) 나일론 6,10 합성
Aqueous phase
① 전자저울에 500ml 비커를 올려놓고 영점을 맞춰준 후 DI-water 500ml를 측정한다.
② 시약포지를 이용하여 NaOH(반응의 촉매역할과 더불어 HCl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0.8g, Hexamethylene diamine 1.16g을 측정한 후 500ml 비커에 넣어준다.
참고 자료
김우식 외 2명/ 고분자공학개론/ 자유아카데미/ 2006/ p52-55
김성철 외 2명/ 고분자공학1/ 희중당/ 1994/ p26, 230
황순재/ 합성수지/ 동화기술/ 2006/ p10-30, 330-340
화학교재연구회/ 맥머리의 유기화학/ 사이플러스/ p.804-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