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정책 중 2가지
- 최초 등록일
- 2020.04.09
- 최종 저작일
- 2019.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형 나노디그리 시범 도입
2) 개인 맞춤형 교육을 위한 지능형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책이란 국가나 자치단체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 비전의 실현을 위하여 정치적인 과정을 거쳐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도록 하는 행동 또는 지침으로 여기서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이란 중앙정부의 평생교육지침,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또는 시도 지방 평생교육 진흥원에서 제정하는 국민 개인 및 단체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5년 단위의(4차: 2018~2022) 평생교육진흥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하여 기본계획을 세우고 이에따라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4차 계획에서는 “누구나 누리는 평생학습”, “언제나 누리는 평생학습”, “어디서나 누리는 양질의 평생학습”, “기반이 튼튼한 평생학습”이라는 4가지 과제 아래 과제별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 자료
한준상 / 미래 한국 평생교육정책의 비전
교육부 / 2018 / 제 4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안)
교육부 / 2018 / 2018년 교육부 업무계획
네이버블로그 / 한국형 나노디그리 https://blog.naver.com/thkshiv/221144892168
네이버 지식백과 / 케이무크 (시사상식사전, 박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