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실험 - 경북대 기계공학실험 만점
- 최초 등록일
- 2020.04.05
- 최종 저작일
- 2015.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Steel과 Al 선도
1) 공칭응력과 공칭변형률
2) 진응력과 진변형률
3. 실험결과 및 고찰
4. 0.2% 오프셋
본문내용
1. 실험목적
재료의 인장력에 대한 탄성적 성질, 소성변형 저항 및 파단 강도를 측정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험을 인장 시험(Tensile test)이라고 한다. 인장 시험은 재료의 강도를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험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한 결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인장하중을 걸었을 때 재료에 생기는 변형저항의 상태를 조사해 봄으로써 그 밖의 하중을 걸었을 때의 저항변형도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철강과 같은 연성재료에 대해서는 인장강도, 항복점, 신율, 단면 수축률을 주철과 같이 취성재료에 대해서는 인장강도를 주로 측정한다. 본 실험에서는 판재시편을 인장 시험하여, 그로부터 얻은 하중-변위 선도로부터 재료와 기본특성을 구하는 요령을 터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중 략>
3. 실험결과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시편을 통해 인장 시험하여, 하중-변위 선도로부터 공칭응력-공칭변형률과 진응력-진변형률의 선도를 구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첫 번째 실험은 열연강판에 대한 인장시험이었는데, 그래프를 통해서 명백한 탄성구간에서 기울기 값을 구해낼 수 있었다. 또한 항복점에는 상항복점과 이후로부터 응력 값이 떨어지게 되는 하항복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갑자기 변형률이 증가하는 병목현상(necking)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후에는 재료의 최대극한강도를 나타낸 뒤에 재료가 파손(Fracture)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