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실습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4.02
- 최종 저작일
- 2020.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형식 지정자란?
1) 기본적인 형식 지정자 종류
2) printf()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방법
3) printf() 함수 사용의 몇가지 규칙
2. visual studio를 사용한 프로그램 작성 실습
1) 형식 지정자의 출력 필드 설정과 정렬 특성
2) 형식 지정자의 다양한 출력 형태
3) 2.2 실행값 확인
본문내용
1. 형식 지정자란?
printf와 같은 라이브러리 함수 프로그래머가 사용할 수 있도록 컴파일러가 제공하는 함수들를 호출하여 변수값을 출력할 때, 변수값의 출력 형식을 지정해주는 것을 형식 지정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printf(“%d\n”, 2019);라는 문장을 쓰면 10진 정수인 2019가 화면에 출력된다.
1.1) 기본적인 형식 지정자 종류
기본적인 형식 지정자에는 %d, %f, %c, %s가 있다. 이를 간단히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2) printf()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방법
<1. 형식 지정자란?>에서 printf()~이하의 문장을 쓰면 함수 안에 쓴 데이터를 지정된 형식에 따라 출력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 줄의 문장으로는 화면에 출력할 수 없다. visual studio에서는 어떤 문장들을 써야 화면에 정확하게 출력이 되는지 간단히 알아보고, 다음 차례에 %d, %f, %c, %s와 같은 형식 지정자의 다양한 형태들을 직접 출력하여 보기로 한다.
(1) #include <stdio.h>
먼저, printf()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헤더 파일 코드의 일부분이 들어 있는 텍스트 파일이 든 standard input output(표준입출력, 이하 stdio.h) 파일을 소스 코드 안에 포함시키라는 의미의 문장을 입력한다.
(2) int main(void)
입력을 받아 지시대로 처리하고 출력하기 위한 함수(function)를 호출한다. int는 정수형의 값을 출력한다는 의미이며, 아무 것도 반환하지 않고(void), 아무 인자도 받지 않는(void) "main"이라는 함수를 정의하겠다는 선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