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현장에서 양적연구, 질적연구 적용시 각각의 장점과단점이 무엇이 있을지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03.31
- 최종 저작일
- 2019.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h78**** (본인인증회원)
4회 판매
목차
1. 서론 : 사회복지 현장에서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 적용의 의미
2. 본론 :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의 장단점 고찰
1) 양적연구의 장단점 고찰
2) 질적연구의 장단점 고찰
3. 결론 : 시사점
본문내용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는 연구논리와 연구기법뿐 아니라 연구를 수행하는 기본 목적에도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연과학 연구방법에 기초한 양적연구는 설명과 예측을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으며, 이를 위해 이론의 개발을 실천적 목표로 활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론은 현상을 설명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설명과 예측에 동일한 이론이 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의 가정이 필요하며 그 가정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설명과 예측에 동일한 이론을 활용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반면에 질적연구는 자연과학 연구방법이 갖는 연구대상의 객관성에 의문을 가지게 된다.
참고 자료
백상용(2006), 질적연구의 의미와 한계 : 양적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정보시스템연구, 2006년 15권 1호, pp.239~254
김선미(2008), 공·사립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대한 연구 : 질적·양적 접근의 통합적 관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승철(2006), 협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ㆍ양적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선일(2017),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한 고등학생의 칫솔질 실천 영향요인 분석, 강릉원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