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 아동학대 문헌고찰, 간호중재, 대처방안
- 최초 등록일
- 2020.03.27
- 최종 저작일
- 201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원

판매자허졔 (본인인증회원)
26회 판매

소개글
"정신간호 아동학대 문헌고찰, 간호중재,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유형
3) 발생요인
4) 현황
2. 간호 중재 방법
3. 대처방안
1) 아동학대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활동
2) 아동학대 예방프로그램
본문내용
1) 정의
아동복지법 제 3조 제 7호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하고 규정하여 적극적인 가해행위뿐만 아니라 소극적 의미의 단순 체벌 및 훈육까지 아동학대의 정의에 명확히 포함하고 있다. 이는 "아동의 복지나 아동의 잠정적 발달을 위협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행동"으로 확대하여,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나 방임, 아동의 발달을 저해하는 행위나 환경, 더 나아가 아동의 권리 보호에 이르는 매우 포괄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2) 유형
(1) 신체학대 (Physical Abuse)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
(아동복지법 제3조 제 7호)
* 내용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모든 행위를 말한다.
* 구체적인 신체학대 행위 예
• 직접적으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손·발 등으로 때림, 꼬집고 물어뜯는 행위, 조르고 비트는 행위, 할퀴는 행위 등)
•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를 가해하는 행위(도구로 때림, 흉기 및 뾰족한 도구로 찌름 등)
• 완력을 사용하여 신체를 위협하는 행위(강하게 흔듬, 신체부위 묶음, 벽에 밀어붙임,떠밀고 잡음, 아동 던짐, 거꾸로 매담, 물에 빠트림, 주먹으로 치기, 때리기, 발로 차기, 물기, 화상 입히기, 흔들기, 타박상, 상처, 골절 등)
• 신체에 유해한 물질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화학물질 혹은 약물 등으로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행위, 화상을 입힘 등)
(2) 성 학대 (Sexual Abuse)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
참고 자료
제7판 수정판 정신간호총론 (임숙빈 외, 수문사, 2017. 3.)
2018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9. 9.)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학대 [child abus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학대 [child abuse]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아동건강증진간호 (김미예 외, 수문사, 201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