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NSTEMI 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20.03.27
- 최종 저작일
- 2018.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NSTEMI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검사 및 치료
5] 예방
2. CASE STUDY
1] History taking
2] V/S
3] Medication
4] Lab&Diagnostic test
5]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또는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 심장근육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하는 경우를 심근경색이라고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하벽 심근경색, 심한 정도에 따라 전층/심내막하심근경색으로 분류하며 심전도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ST절 상승심근경색(STEMI), 비ST절 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한다. STEMI는 관동맥이 100% 막혀 응급으로 혈관 재개통이 필요하고 NSTEMI는 관동맥이 완전히 막히지 않은 심근경색이다.
NSTEMI의 ECG분석
NSTEMI의 ECG를 보면 대부분 ST분절이 낮아지거나 T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STEMI는 ECG상에서 ST분절 상승을 보이지 않고 이후에 Q파로 진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NQMI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원인
심장근육은 관상동맥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기 때문에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심근이 영향을 받는다.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은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 혈전이 생기지 않지만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 내피세포가 손상 받게 되면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 되면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혈전이 혈관의 70%이상을 막아 심근의 일부가 괴사되면 심근경색이고 괴사되지 않고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협심증이다.
원인으로는 고령, 흡연, 고혈압, 당뇨병, 가족력 그 외 비만, 운동부족등의 생활습관이 있다.
3] 증상
대부분 “가슴을 쥐어짠다.”, “가슴이 쎄하다.”등의 통증을 주로 가슴의 중앙이나 좌측에서 호소한다. 흉통은 호흡곤란과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왼쪽 어깨나 팔의 안쪽으로 방사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30분 이상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
참고 자료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2-2014,
서울:정담미디어, 2013
성미혜 외, 간호과정, 서울:정문각, 2011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 서울:현문사, 2014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 서울:현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