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ute Coronary Syndrome(ACS)
- 최초 등록일
- 2020.03.26
- 최종 저작일
- 2015.09
- 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500원

판매자blos******* (본인인증회원)
2회 판매
목차
1. 서론
2. 발생기전
3. 진단
4. Risk Stratification
5. 치료
6. Secondary Prevention following MI
본문내용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이란
-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불안정형 협심증(UA)부터 비가역적인 심근괴사로 인한 급성심근경색증까지 죽상경화반의 파열과 관상동맥 혈전을 공통적인 병태생리로 하는 질환군
- CSA 관리가 잘 안되었을시 발전
합병증
Cardiogenic Shock(심인성쇼크), HF, Valvular Dysfunction, Bradycardia, Heart Block, Pericarditis(심낭염), Death
가슴통증의 잠재적 원인
- ACS
- Non-ischemic chest pain :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식
2. 발생기전
죽상경화반(plaque)의 파열 → 혈소판 응집, 혈전형성 → 부분적인 관상동맥 폐쇄 : UA, NSTEMI / 완전히 폐쇄 : STEMI
( if rupture 일어나지 않으면 계속 만성안정형 협심증상태유지. rupture는 fibrous cap이 얼마나 튼튼한가가 중요 )
죽상경화반 파열 원인
- 죽상경화반 파열은 죽상경화반 표면의 섬유덮개(fibrous cap)에 가해지는 힘과 섬유 덮개의 물리적 강도 사이에 불균형이 있을때 발생
- 혈관압에 갑작스러운 변화
- 심수축시 동맥 비틀림, 굽음
- 플라크의 지질에 따라
- fibrous cap의 두께
- 플라크의 형태
- 대칭적이면 파열↓
- 물리적 손상
도파열(esophageal rupture),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