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 최초 등록일
- 2020.03.18
- 최종 저작일
- 2019.04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사례연구
1. 환자의 간호정보 ‧‧‧‧‧‧‧‧‧‧‧‧‧‧‧‧‧‧‧‧‧‧‧‧‧‧‧‧‧‧‧‧‧‧‧‧‧‧‧‧‧‧‧P. 1~4
2. 진단적 검사 ‧‧‧‧‧‧‧‧‧‧‧‧‧‧‧‧‧‧‧‧‧‧‧‧‧‧‧‧‧‧‧‧‧‧‧‧‧‧‧‧‧‧‧‧‧‧‧‧‧‧P. 5~7
3. 약물 ‧‧‧‧‧‧‧‧‧‧‧‧‧‧‧‧‧‧‧‧‧‧‧‧‧‧‧‧‧‧‧‧‧‧‧‧‧‧‧‧‧‧‧‧‧‧‧‧‧‧‧‧‧‧‧‧‧‧‧ P. 8
4. 문헌고찰 ‧‧‧‧‧‧‧‧‧‧‧‧‧‧‧‧‧‧‧‧‧‧‧‧‧‧‧‧‧‧‧‧‧‧‧‧‧‧‧‧‧‧‧‧‧‧‧‧‧‧‧‧‧‧ P. 9~13
5. 간호과정 ‧‧‧‧‧‧‧‧‧‧‧‧‧‧‧‧‧‧‧‧‧‧‧‧‧‧‧‧‧‧‧‧‧‧‧‧‧‧‧‧‧‧‧‧‧‧‧‧‧‧‧‧ P. 14~19
Ⅱ. 참고문헌 ‧‧‧‧‧‧‧‧‧‧‧‧‧‧‧‧‧‧‧‧‧‧‧‧‧‧‧‧‧‧‧‧‧‧‧‧‧‧‧‧‧‧‧‧‧‧‧‧‧‧‧‧‧‧‧P. 20
본문내용
1. 환자의 간호정보
1) 일반적 사항
• 이름 : 신OO
• 성별 / 연령 : M / 80
• 입원일, 간호 수행기간 : 2019년 4월 2일
• 주호소 : dyspnea, Asthenia
• 진단명 : Acute Myocardial Infarction
2) 대상자의 건강력
(1) 가족력(고혈압, 당뇨, 천식, 결핵, 간염 등 유전성 질환 유무) : 없음
(2) 과거력(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상용하는 약물) : 없음
(3) 현 병력
① 발병 당시~입원일 :
상기 환자, dementia로 vedrdden state로 지내던분, 의사소통 원활하지 않음. 보호자 진술상 1일 전 저녁부터 가래가 늘었다고 하며 내원 2시간 전부터 손발이 차고 기력 없어 보여 119통해 응급실 내원, 119 도착시 SpO2 79 check되어 O2 6L apply하면서 ER내원. 내원 당시 V/S : 67/44 – 30~40회 – LOW 사정됨.
3) 건강사정
(1) 건강관리 양상 (미사정)
• 건강유지를 위해 특별히 했던 것은 무엇인가?
• 건강과 관련된 지식에 대해 이행정도는 어떠한가?
• 약물, 술, 흡연습관은 어떠한가?
• 개인위생(양치질, 세면, 목욕 등) 상태는 어떠한가?
<중 략>
간호진단
#1. 심근 수축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목표
단기:대상자는 1시간 이내로 SpO2가 95%이상으로 회복한다.
장기: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ABGA수치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진단적]
- 지속적으로 V/S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호흡음을 청진한다.
- 분비물 배출 능력을 사정한다.
- 의식수준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 피부색과 온도를 사정한다.
- ABGA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호흡성산증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치료적]
- 환자에게 처방된 O2를 투여한다.
- 금기가 아니라면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 필요시 흡인을 실시한다.
( 분비물의 양, 색, 점도 확인)
- 필요시 튜브삽관과 기계적 환기의 필요성을 고려한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10인, 「성인간호학Ⅰ」, 2017, 수문사
MEG GULANICK, HUDITH L. MYERS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2017,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