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통치이념,북한 주체사상,북한의 정치체제,사회주의,마르크스 레닌주의
- 최초 등록일
- 2020.03.11
- 최종 저작일
- 2020.03
- 17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판매자rnalt**** (본인인증회원)
목차
1. 북한의 초기 통치이념
2. 주체사상
본문내용
1. 북한의 초기 통치이념
1. 북한의 정치체제 형성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한 수령 독재체제, 노동당에 의해 지배되는 일당독재체제
.해방직후 : 다양한 정파 ↔ 김일성 세력
.마르크스-레닌주의 -> 주체사상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적용한 사상을 국가 활동의 지침으로 삼는다.”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당의 공식이념”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간단하게 틀을 설명하면, 북한체제는 정치적으로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한 수령 독재체제이며, 노동당 일당에 의해 지배되는 일당 독재체제입니다. 해방 직후 북한지역에서는 다양한 정파들이 각축을 벌였으나, 소련의 후원을 받은 김일성 세력이 다른 정파들을 제압하고 북한 권력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하였습니다. 6•25전쟁과 북한만의 사회주의화: 1952년도에 김일성이 대중연설에서 사회주의와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처음으로 지배이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북한만의 사회주의가 공식 이데올로기로써 부상하였다. 북한의 통치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였으나, 1970년 11월 제5차 당 대회를 계기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함께 주체사상이 노동당의 지도이념으로 확립되었습니다. 이는1972년 12월 개정된 사회주의 헌법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적용한 주체사상을 국가 활동의 지침으로 삼는다”라고 했으며, 1980년 10월 제6차 당 대회에서는 당 규약에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당의 공식 지도이념”이라고 규정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