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응급식
- 최초 등록일
- 2020.02.29
- 최종 저작일
- 2018.10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A. 문헌고찰 -Pneumonia(폐렴)
1. 증상에 따른 신체검진 및 진단검사
2. 증상에 따른 치료
3. 증상에 따른 간호
4. 질병의 병태생리
5. 질병의 치료 및 간호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1) 비정상적인 검사수치로 알 수 있는 환기 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욕창으로 알 수 있는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3) 비정상적인 체온으로 알 수 있는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C. 결과
본문내용
1. 증상에 따른 신체검진 및 진단검사
Hypotension (저혈압)
● 문진 – 어떤 증상으로 불편해서 병원에 오게 되었는지, 저혈압 증상이 언제부터 발생하여 얼마나 심하게 오는지, 기존에 혈압이 낮아질 만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문진하게 되며, 현재 복용약물을 반드시 얘기해야 한다.
● 활력징후
● 신체검사 – 전체적으로 신체검사를 하며 필요에 따라서 신경학적 검사와 위장출혈여부를 보기 위해 직장 수지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 혈액검사 – 출혈 여부를 보기 위해 혈색소, 헤마토크리트를 검사하고 그 외 혈당을 측정하여 문진과 신체진찰의 결과에 따라 의심되는 원인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 심전도 – 부정맥이나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심장질환을 찾아내고 문진이나 과거력으로 가능성이 높은 심장질환이 심전도로 진단되지 않으면 24시간 홀터검사를 통해 자세한 검사를 시행한다.
● 심장초음파 – 심장 원인에 대한 혈압 강하 여부를 찾는데 도움이 되며, 심근경색증, 심장막 질환, 폐쇄성 비후성 심근염, 판막의 폐쇄에 의한 혈압 강하 등을 찾아 낼 수 있다.
● 운동부하 심전도 – 운동과 저혈압의 상관관계 및 저혈압 유발 할 수 있는 기질적인 원인을 검사한다.
● 기립경 검사 – 미주신경 실신인 경우 70-80도 정도의 경사로 기울인 테이블에 반드시 누워서 하체로 혈액이 모여 심장으로의 되돌아 오는 혈액이 감소하게 하여 교감신경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교감신경의 활성화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면 맥박수를 증가시키는 약제를 투여하면서 시행하기도 한다. 만약 실신이 나타나면 혈압과 맥박수를 기록하여 실신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둘 중의 하나가 감소하게 되면 미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게 된다.
2. 증상에 따른 치료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 저혈압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급성 저혈압의 치료는 그 원인을 찾아내어 교정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며, 예를 들어 위장관 출혈이 심해서 생긴 급성 저혈압은 출혈의 원인을 찾아내어 출혈을 멈추게 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저혈압’, 2018-10-25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44
김근순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8판 상권 수정판. 수문사 p.550~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