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아동주요 질환 정리 신생아 반사반응, 신생아 사경, 신생아 황달, 아프가 점수, 산류, 두혈종, 산류와 두혈종 차이
- 최초 등록일
- 2020.02.28
- 최종 저작일
- 2019.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초록풀잎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아동간호학 주요질환을 원인 증상 치료 등으로 정리한 과제입니다.
목차
1. 신생아 반사반응
2. 신생아 사경 - 원인, 증상, 치료
3. 신생아 황달 - 원인, 병태생리, 증상, 치료, 간호중재
4. 아프가 점수
5. 산류
6. 두혈종
7. 산류와 두혈종 차이
본문내용
□ 신생아 반사반응
● 구역반사, 교액반사 (gag reflex)
인두후부를 자극하도록 음식, 흡인, 튜브를 통과시키면 구역질을 한다.
소실되지 않고 지속된다.
● 긴장성경반사 (tonic neck reflex)
앙와위에서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펜싱선수의 자세처럼 머리를 돌린 쪽의 팔과 다리를 뻗고 반대쪽의 사지를 굴곡된다.
소실시기 3~4개월이다.
● 모로 반사 (moro reflex)
손으로 아기 어깨를 받치고, 몸을 지탱하면서 머리를 갑자기 떨어트리거나 자세를 갑자기 변경시키게 되면 등과 팔다리를 쭉 펴면서 외전하며, 손가락은 따로따로 펴서 엄지와 검지가 ‘C’ 모양을 보이며, 팔은 포옹하려는 듯이 움직인다.
소실시기는 3~4개월이다.
출생시 뇌손상, 쇄골골절 또는 두 개내 이상이 있으면 모로반사는 나타나지 않는다.
● 파악반사, 잡는 반사(grasp reflex)
손바닥이 손가락과 발바닥의 발가락을 건드리면 손과 발이 굴곡된다.
소실시기는 4개월이다.
● 빨기반사, 흡철 반사(sucking reflex)
물체를 입술에 대거나 입안에 놓으면 빨기를 시도한다. 소실시기는 4~6개월이다.
● 포유 반사(rooting reflex)
뺨을 톡톡 치거나 접촉하면 머리를 자극 방향으로 돌린다. 소실시기는 3~4개월이다.
●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
발바닥 외측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가볍게 긁으면 엄지발가락이 위로 치켜지고 발가락이 벌어진다. 대뇌피질이 발달되면서 반사가 사라진다. 소실시기는 1년이다.
영아의 신경학적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좋은 지표가 된다.
□ 신생아 사경(torticollis)
선천성 근성 사경이란 태어나면서 한쪽 목의 흉쇄 유돌근이 경직되어 목의 기울어짐이 생기고 이로 인해 안면이 비대칭적으로 발달되는 선천적인 질병으로 신생아의 약 1~2%에서 발견됩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