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 함세덕의 기미년 3월 1일 , 유치진의 조국 , 김남천의 3.1운동 - 위의 세 편의 희곡을 읽고 감상문 작성 - 단순한 내용 요약 혹은 감상문이 아닌 학술적인 문장을 작성
- 최초 등록일
- 2020.02.21
- 최종 저작일
- 2020.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300원

판매자ReportRed (본인인증회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해방이 된 직후 해방을 위한 투쟁에 관련된 역사를 보여주기 위하여 좌파와 우파 계열들은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3·1 운동을 기념하고, 기억하였다. 따라서 3·1 운동을 이용하여 역사적인 의미를 사람들에게 전유해주고자 하였고, 전달 방식 중 하나가 희곡을 만들어 공연을 진행하는 것이었다. 김남천의 <3·1 운동>, 유치진의 <조국>, 그리고 함세덕의 <기미년 3월 1일>이 대표적인 희곡 텍스트로, 3·1 운동이 해방이 된 직후에 정치적인 공간에 어떻게 기입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3·1 운동>과 <기미년 3월 1일>은 3·1 운동을 실패한 혁명으로써 평가하였던 좌파 계열의 역사적인 관점과 관련이 있었으며, 자율적이지 못한 해방을 한 조선이라고 이야기하며 조선을 3·1 운동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반면 <조국>은 3·1 운동을 성공한 운동으로써 평가하였던 우파 계열의 역사적인 관점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본의 패전 그리고 조선의 해방 직후의 시선으로 3·1 운동을 바라보았다.
2. 본론
본 희곡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김남천의 <3·1 운동>은 3막 8장으로 구성된 희곡으로 기미년 3월 1일을 전후로 한 약 한 달간의 시간을 극중 시간으로 하여 희곡을 진행한다. “이 한 편을 삼가 삼일 운동에 희생된 만여 선열의 무덤 앞에 드리나이다.”라는 헌사로 시작하는 <3·1 운동>은 김남천의 나이가 9살일 때 목격을 한 고향 성천에서의 독립 투쟁을 바탕으로 하여 만든 작품이다.
참고 자료
차승기, (2009). 기미와 삼일 – 해방직후 역사적 기억의 전승-. 한국현대문학회, pp.309~334.
곽병창, (1995). 세 편의 3·1절 기년 희곡에 대한 비교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