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역할 하기와 아버지 역할 하기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2.12
- 최종 저작일
- 2020.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어머니 역할 하기
2. 아버지 역할 하기
3. 어머니 역할 하기와 아버지 역할 하기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가족 환경이 과거에 비해 다양해지면서, 사회와 가족이 기혼남성에게 기대하는 가족 내 역할의 모습도 다양해졌다. 남성의 고용지위가 불안정해지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사회적으로 장려되면서, 기혼남성이 가족 역할을 하는 것에 높은 사회적 가치가 부여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는 한편, 가구 규모의 감소로 인해 가족역할을 공유할 수 있는 가족의 관계망도 작아지면서, 기혼남성이 가족 역할에 헌신해야 하는 현실적인 필요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 결과, 기혼남성의 가족 역할은 가장의 역할, 즉 도덕적 훈계자와 가계부양자 역할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녀양육과 돌봄 제공자 및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지지자 역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어머니 역할 하기와 아버지 역할 하기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다.
Ⅱ. 본론
1. 어머니 역할 하기
양육역할은 어머니로서 갖게 되는 지식, 태도, 기술 등으로 나타나며,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육행동 또는 양육태도 등을 총칭한다. 박수연(2005)은 어머니의 양육역할을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행동자체 뿐아니라 자녀와 양육에 대한 지식, 태도, 가치, 책략, 감정 등의 신념 또는 인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고 보았다. Nye(1976)는 어머니의 양육역할을 의생활 및 식생활을 제공하고 자녀를 훈육하며 청결상태를 관리하고 두려움이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자녀양육역할과 타인과 잘 어울리도록 도와주고, 옳고 그른 것에 대한 판단력을 심어주는 사회화 역할로 나누었다.
Gilbert와 Hanson(1983)은 어머니의 양육역할을 크게 교육적인 역할, 기본적인 욕구 충족의 역할, 상호작용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육적인 역할은 유아의 인지적․정서적․사회적․신체적 발달을 촉진하고,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제공해주며, 개인위생과 생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기본적 욕구 충족의 역할은 유아의 건강을 돌보고, 의식주를 제공해주며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유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성일(2004). 학습에 대한 내재 동기 이론. 성곡논총.
김미화(2009).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태도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혜진(2010). 영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 역할만족도와 역할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김정주‧김용미(201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사회, 심리적 특성과 아동기 경험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