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기관의 유형을 5가지 이상 제시한 후, 각 유형별 운영되는 평생교육프로그램명 1개 이상을 제시하고 제시된 프로그램 운영시
- 최초 등록일
- 2020.01.31
- 최종 저작일
- 2020.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평생교육론
주제: 평생교육기관의 유형을 5가지 이상 제시한 후, 각 유형별 운영되는 평생교육프로그램명 1개 이상을 제시하고 제시된 프로그램 운영시 어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평생교육기관의 정의
2. 평생교육기관 유형 5가지 이상 제시
1) 시·도 평생교육진흥원
2) 국가 및 지자체 (평생학습추진기구)
3) 시·군·구 평생학습관
4)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5)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3. 5가지 유형의 평생교육기관에서 제시하는 프로그램 1개와 효과성 제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교육’에 있어 ‘학교교육’이외에는 필수적이지 않다는 인식과 풍조가 사라지고 있는 시대이다. 이에 따라 사람이 언제든지 자유롭게 학습 기회를 선택해 배울 수 있고, 그 성과가 적절히 드러나는 평생교육 실천의 의의가 높아지고 있다. 집이나 직장에서도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연결고리는 평생교육기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 평생교육에 관련된 정보와 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상담과 커뮤니케이션을 응하는 기능 외에도 네트워크 교류를 추진하고 있는 시설 및 기관을 ‘평생교육기관’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평생 학습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은 지역 평생학습의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식 밖의 영역에서 내부로 끌어 오는 인식적 활동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아래에서는 평생교육기관을 간단히 살펴보고, 평생교육기관을 5가지의 유형별로 제시하여 평생교육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프로그램 1개를 선정해 그 효과를 분석하고 기대해보는 서술을 이어가고자 한다.
Ⅱ. 본론
1. 평생교육기관의 정의
(배장오,2009)에 따르면, 평생교육기관의 경우 유형별로 설치근거가 마련되어 있다.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의거,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 문자해독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등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시설,법인 또는 단체를 말한다. 평생교육은 정규학교에서 행하는 정규교과학습을 제외한 학교 또는 학교 외 장소에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의도적, 체계적 교육활동을 규정해 학교가 주체가 되는 비정규 교육과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평생교육법상에 의거하여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평생교육법에 의거 인가,등록,신고 또는 설치 보고된 시설, 다른 법령에 의한 시설을 ‘평생교육기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현영섭, 김경회,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질과 학습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요인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학술논문, 2008
이길헌,
평생교육경영론, 한교원, 2016.02.25.
정기수, 내부마케팅에 의한 대학평생교육기관 경영, 한양대학교, 학술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