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생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심층고찰
- 최초 등록일
- 2020.01.29
- 최종 저작일
- 2020.01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2,000원

소개글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심층고찰입니다.
생명의 고유특성, 인간과 생물, 생물의 분류 등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1. 자연과 생명
1-1 자연 (Nature)
1-2 우주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1-3 생명은 언제 탄생되었나?
1-4 생물과 인간과의 관계
2. 생물의 특성은 무엇인가?
2-1 생물은 왜 먹어야 하는가? : 영양
2-2 생물은 자신의 유한성을 어떻게 극복하는가?: 생식
2-3 유전하면서 변화한다? : 유전과 변이
2-4 환경에 맞추어 산다 : 적응
2-5 생태계라는 집을 만든다 : 생태계의 형성
3. 생명은 왜 신비한가?
3-1 생명은 한 번 만 산다
3-2 생명은 스스로 조절할 줄 안다
3-3 생명은 스스로 선택할 줄 안다
3-4 생명은 정보수집가이다 : 정보처리컴퓨터
4. 인간과 생물
4-1 생물에 대한 관심
4-2 생물학은 어떻게 발전하였나?
4-2-1 생물의 분류
4-2-2 세포의 발견
4-2-3 미생물의 발견
4-2-4 혈액순환의 관찰
4-2-5 분류학의 정착
4-2-6 세포설의 정립
4-3 현미경이 생물을 보다.: 현미경에 의한 생물학의 발달
5. 생물은 몇 종이나 될까? : 생물의 종류
5-1 분류학(分類學, taxonomy)이란 무엇인가?
5-2 생물의 세계
5-3 미생물계 (Protista)
5-3-1 바이러스 (virus)
5-3-2 세균(박테리아, bacteria)
5-3-3 곰팡이(fungus) : 진짜 균(진균)
5-3-4 말류 : 조류(源類, algae)
5-3-5 원생동물(protozoa)
5-4 동물계(Animal kingdom)
5-5 식물계 (Plant kingdom)
본문내용
생명은 생물체가 자발적 생존 능력을 가질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즉 생명올 가진 것을 우리는 생물이라 부른다. 생물이 자발적 생 존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자연으로부터 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얻어야 한 다. 그러나 자연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필요로 하는 다른 생물로부터의 공격의 위험성도 상존하고 있다. 한편 자연 속에는 생명을 갖지 않는 물, 태양, 무기물 둥이 존재하고 있어 생물의 생존을 돕고 있다.
이와 같이 생물은 생물적 자연(다른 생물)과 무생물적 자연(물, 태 양, 무기물)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생명현상을 유지해 나가는 것 이다. 이 가운데에서 인간은 무엇이며 “나”라는 존재의 역할은 무엇인가 우리는 한번 생각해 보아야겠다. 인간은 자연을 먹이와 나에게 필요한 물 질을 공급하는 대상으로만 볼 것인가? 자연을 보호하여 자연으로부터 끊 임없이 도움을 받아 생존하는 상호 공생의 관계를 유지할 것인가 이는 전 적으로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1-1-1 자연 (Nature)
우리는 자연을 어머니 자연(mother nature)라고도 한다. 이는 생물의 모든 근원이 자연 속에 있다는 뜻일 것이다. 생물의 몸의 70% 정도를 차 지하고 있는 물과 생명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태양, 식물의 광합성에 의 해 만들어지는 산소(02)와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무기물들을 자연 은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연을 우리는 무생물적 자연이라 부른다.
한편 동물, 일부 식물과 미생물들은 서로 끊임없이 다른 개체나 개체의 사체를 공격하여 먹이가 되는 생물이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chemical energy)를 얻어 생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생물로서 자연의 한 부분을 이루는 것을 생물적 자연이라 한다
지구는 이러한 무생물적 자연과 생물적 자연을 담고 있는 거대한 그 릇으로 어머니 자연이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