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통신] 수동소자(R,L,C)
- 최초 등록일
- 2003.09.22
- 최종 저작일
- 2003.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전기전자통신학 - 수동소자에 관련한 조사
목차
1. R(저항)
1-1. 재료,제조,종류
1-2. 기본특성
2. L(코일)
2-1. 재료,제조,종류
2-2. 기본특성
3. C(콘덴서)
3-1. 재료,제조,종류
3-2. 기본특성
본문내용
1. R(저항)
저항이란 그 이름대로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부품으로 방해의 크기를 「전기 저항」라고 말합니다. 전기 저항=저항의 양단의 「전압」÷ 흐른「전류」로되며 단위는 Ω (옴)을 사용합니다.
재료, 제조, 종류
수많은 종류의 저항이 있으며 각각의 저항에는 최적의 사용 방법이 있기 때문에 종류를 잘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에 기본적인 저항의 종류별 특징 및 사용법을 표시하였으며 여기에 표시되지 않은 것은 특수 용도로 제작된 것입니다.
기본특성
항상 일정한 갑을 유지하고 있는 저항을 이상적인 저항이라 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방법에 주의가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1)정격 전력
저항에 전류가 흐르면 반드시 열이 발생하게되며 그로 인해 저항값이 변화합니다 열의 허용 범위를 정격 전력으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정격 전력의 1/2 이하에서 사용합니다
2)온도 계수
저항치는 온도에 의하여 변화하며 이것을 온도계수라 합니다. 합니다.온도계수가 300ppm/℃ 인 저항의 온도가 20℃ 상승하면 저항값은 0.6% 증가합니다.따라서 정밀 회로를 만들는 때는 온도계수를 계산에 넣는 필요가 있습니다.
3)주파수 특성
저항은 주파수가 높은 점에서 사용하면 구조상 코일이나 콘덴서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순수한 저항의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