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장 용종
- 최초 등록일
- 2020.01.13
- 최종 저작일
- 2020.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위,대장 용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 용종(Gastric polyps)
2. 대장 용종(Colonic polyps)
3. 간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위 용종(Gastric polyps)
넓은 의미의 용종이란 위장관의 내강 쪽으로 돌출된 병변을 의미하나 엄격하게는 위의 점막층에서 발생된 과증식성 또는 종양성 병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 용종은 상피성 용종과 비점막성 벽내용종으로 크게 분류되며 상피성 용종에는 위저선용종(fundic gland polyp), 과증식성 용종(hyperplastic polyp), 위선종(Gastric adenoma) 등이 대표적이다.
1) 위저선용종(fundic gland polyp)
위저선용종은 산발적으로 발생되는 용종(sporadic fundic gland polyp)과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symdrome)과 동반된 용종 그리고 장기간의 양성자펌프억제제 사용과 연관된 용종이 있다.
위저선용종의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β-catenin 유전자의 변형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발성 위저선용종(sporadic fundic gland polyp)은 부드럽고 투명하며, 무경성의 융기된 형태로 보이며 단독 혹은 다발성으로 나타나지만 다발성인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5 mm 이내의 크기이다. 주변 점막과 비슷한 색조를 띄며 내시경 소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조직학적 소견은 특징적으로 위저샘들의 증식과 소낭형성을 볼 수 있으며 바탕질(lamina propria)에 염증세포의 침윤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산발성 용종에서 이형성(dysplasia)은 1% 미만에서 나타나며 H. pylori 감염과의 연관성은 낮고 시간이 지나면서 크기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이형성을 보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용종의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미란이 있을 경우 이형성 변화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2) 과증식성 용종(hyperplastic polyp)
과증식성 용종은 육안적으로 부드러운 돔 형태를 띄고 발적을 띄며 반구상과 아유경성인 형태가 흔하다.
참고 자료
이승우,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ic Polyp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0, No. 4, 2016
최규용, 대장 용종 환자의 진단과 관리, J Korean Acad Fam Med Vol. 23, No. 10 October
정문관, 대장 용종, 대한 소화기 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