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업]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03.08.28
- 최종 저작일
- 2003.08
- 5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직업의 의미와 장애인 고용의 의의 및 필요성
1. 직업의 의미
2. 발달 배경
Ⅲ.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정책, 제도현황 및 문제점
1. 장애인 고용 관련법
2. 장애인 고용 관련제도
3. 직업재활 주요 사업내용
4. 직업재활의 행정체계
5. 직업재활의 실태
6. 장애인 고용 현황
Ⅳ. 장애인 직업재활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1. 우리나라 장애인직업재활의 문제점
2. 앞으로의 과제
Ⅴ.장애유형별 고용활성화 방안
VI. 외국의 장애인 고용
1. 미국
2. 영국
3. 독일
4. 네델란드
5. 스웨덴
6. 호주
7. 일본
V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인 복지의 최대 목표는 모든 장애인이 현 사회에 평등한 인간으로서 완전한 참여를 이루는 사회적 통합에 있다. 현대 복지사회의 구현에 있어 특히 장애인 복지가 추구하는 사회통합은 인간성의 회복이며, 사회일원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로의 사회적 복귀이다. 따라서 사회 속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열등하다거나 이탈된 계층으로 취급되지 않고, 장애라는 신체적 특징을 지닌 평범한 인간으로 인식되는 상태를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이 상태라 말할 수 있다.
장애인이 하나의 인격적, 사회적 존재로서 지위를 확보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생활능력의 회복과 장애인의 신분보장을 위한 취업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취업 기회의 부여가 장애인 개인의 존엄을 높이고 장애인의 사회에 대한 창조적인 기여를 도울 뿐 아니라 장애인의 가족의 기능을 회복시켜 가족구성원의 생활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사회통합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된다
참고 자료
한국장애인 직업재활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은진, 1999
장애인 고용촉진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제의 변천과 발전방향 임승순
장애인의 직업재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영아, 2000
장애인 직업재활 실태에 관한 연구, 이미숙, 1999
장애인 직업재활정책 추진방향 2001 염민섭
미국과 한국의 장애인 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 촉진공단 사이트
2001 서울시시정백서
보건복지부 사이트
노동부 사이트
교육부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