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실학사상과 민족종교 유적의 의미 (A+) 송시열, 남명조식과 태계이황, 실학, 동학, 서학, 민족종교
- 최초 등록일
- 2020.01.05
- 최종 저작일
- 2019.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판매자문창자료실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성리학, 실학사상과 민족종교 유적의 의미 (A+) 송시열, 남명조식과 태계이황, 실학, 동학, 서학, 민족종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자학(성리학)
(1) 성리학의 이념적 독재와 폐단—송시열을 중심으로
(2) 성리학의 양대산맥,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
2. 실학
(1) 실학의 발생배경과 의미
(1-1) 전쟁 후 변화
(2) 다산 정약용과 실학, 서학
3. 민족종교
(1) 동학, 서학에 대립되어 나오다
본문내용
여는 말.
지금 사회는 서양의 학문과 종교로 가득 차있다. 우리는 동양인이자 한국인인데 왜 서양의 학문만을 따라가는 것일까? 이에 의문점을 가지고 조선시대에 나온 실학과 민족종교인 동학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주자학(성리학)
(1) 성리학의 이념적 독재와 폐단—송시열을 중심으로
12세기에 주자에 의해 유교가 새롭게 정의 내려진다. 모든 사물과 현상계의 존재를 이기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주자의 학파를 이어받은 인물로는 송시열이 있다. 주자는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서 ‘기(氣)’보다 ‘이(理)’를 더 중시한다. 그러나 송시열은 성리학적 근본정신—백성을 위하는 나라통치—을 잊고 서인(노론)의 세력 확산을 위해 주자학을 연구한다. 이러한 보수성향의 주자학자들은 그들을 비판하는 세력을 훈척세력보다도 더욱 철저하게 탄압한다.
또한 송시열은 성리학적 보편주의인 예학의 정신에 근거를 두어 그 입장에 선다. 특히나 주자학 중에서도 보수적인 예학을 연구하여 자신들의 권력에 정치적인 명분을 입히는 것에만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류정동, 「예론의 제학파와 그 논쟁」, 한국철학연구, 1978.
권인호, 『한길역사기행』 (서원의 역사와 유학사상),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