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와 중국문화 영화 색계와 인생 분석과 고찰
- 최초 등록일
- 2019.12.27
- 최종 저작일
- 2019.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동아시아와 중국문화 영화 색계와 인생 분석과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 1 장 서론
2. 제 2 장 본론
1) 一. 色戒
2) 二. 活着
3. 제 3 장 결론
4.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제 1 장 서론
개인의 삶을 돌이켜보는 일은 역사를 돌이켜 보는 일과 같다. 우리는 문학작품이든 영화든 항상 작품 속 한 인물을 통해서 어떤 나라의 특정 시대의 단면을 간접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한 나라 특정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을 감상할 때 그 시대적 배경과 상황에 대한 배경지식 없이는 그 작품이 표현해 내고자 하는 의미를 완벽히 간파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를 토대로 중국 영화 <색, 계>와 <인생>을 통해서 전반적인 중국 근현대사의 일부분을 재조명하여 역사적 측면에서 두 작품의 시대적 상황을 그 작품 속 장면과 비교 분석하고 연계하여 통찰해 보고자 한다.
제 2 장 본론
一. 色戒
색, 계는 격동의 시대가 지닌 잔혹함과 갈등, 사랑과 미움 그리고 슬픔과 복수와 같은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들을 그 본성에 의거하여 섬세하게 풀어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색, 계를 하나의 문장으로 단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시대의 광기에 희생된 슬픈 사랑이야기’로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다. 즉, 시대와 개인의 경계선 사이에 교묘히 놓인 어떠한 욕망을 ‘일제강점기’라는 중국의 일부 역사 속에서 상세히 형상화 되어진 작품이다.
참고 자료
장아이링, 『色 색 戒 계』 (서울: 랜덤하우스, 2008)
위화, 『인생』 (푸른 숲, 2007)
박완호, 장남희, 황지유 『영화로 이해하는 중국문화』 (광주 :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00
김영숙 (2009) 『<색/계>의 性 담론의 문화 정치학 =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Sex Discourse in Lust/Caution 』 Vol.2 No.3 [2009]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김언하 (2008) 『영화 《인생(活着)》 : 중국현대사에 대한 준엄하고 따뜻한 통찰』 Vol.31 No.- [2008] - [대한중국학회]
탕미아오 (2016) 『위화의 소설 活着와 영화 人生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Novel 'Huo zhe' and the Movie 'To live'』 - [학위논문(석사)--동양대학교 : 한중문화학과문화재학전공 201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