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구조적 역할과 구조설계
- 최초 등록일
- 2019.12.27
- 최종 저작일
- 2019.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
2. 기초의 구조적 역할
1) 기초의 구조적 역할
2) 기초의 종류
3. 기초의 구조설계 개념
1) 설계단계
2) 구조설계시 고려사항
본문내용
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각 부재마다 작용하는 힘도 다르며, 이에 따라 각 부재의 설계가 달라진다. 철근콘트리트 구조의 부재는 기초,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재는 휨과 압축, 전단 및 비틀림 거동을 하며, 정착 및 이음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 중 기초의 구조적 역할과 구조설계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기초의 구조적 역할
가. 기초의 구조적 역할
1) 기둥이나 벽을 지지할 목적
- 흙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과다한 침하나 부등침하, 회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 전도나 미끄러짐에 대한 안전이 유지되어야 한다.
2) 지반에 하중을 전달하고 분배할 때 사용
나. 기초의 종류
1) 연속기초, 독립기초, 복합기초, 온통기초, 말뚝기초 등
나. 구조설계시 고려사항
1) 기초판의 형태와 크기 결정
- 얕은 기초의 경우 흙의 체적변화를 일으키는 깊이, 지하 매설물 및 인접구조물의 영향, 동결 깊이, 지하수위 등으로 고려하여 기초의 관입깊이를 정해야 한다.
- 기초판의 저면적은 지반의 허용지내력(혹은 말뚝의 허용지지력)과 상부하중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때의 하중은 사용하중을 사용한다.
- 토질역학의 이론에 의하면 허용지내력은 기초판의형태와 크기 및 관입깊이에 따라 달라지고 기초 저면의 접지압 분포 또한 일정하지 않지만 독립기초를 설계할 경우 허용지내력을 가정한 다음 중심 축하중에 대해서는 등분포로 가정하고 편심하중에 대해서는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분포의 접지압이 발생하는 강체로 가정하여 설계한다.
참고 자료
철근 콘크리트 구조설계 / 김상식 저 / 문운당 / 201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