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객관주의
- 최초 등록일
- 2019.12.13
- 최종 저작일
- 2019.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도덕적 객관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도덕에서의 자연법 논쟁
Ⅲ. 이중 결과의 원리
Ⅳ. 사례 적용 - 테러리스트들은 자신들의 폭력 행위를 정당화
Ⅴ. 도덕적 절대주의와 도덕적 객관주의의 차이
Ⅵ. 윤리적 상대주의와 윤리적 상황주의의 차이
Ⅶ. 데이비드 흄의 이론 분석
Ⅷ. 결 론 - 조건부적 의무
Ⅸ.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윤리적 상대주의는 도덕 원리는 문화나 개인의 승인을 통해서만 그 타당성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윤리적 상대주의 입장에서는 나름대로의 도덕 원리와 개개인의 승인이 있었기 때문에 타당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과 모든 사회 환경에 타당한 객관적인 보편적 도덕 원리들이 존재한다는 객관주의 입장에서 도덕 원리 입장에서는 타당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이것은 받아들일 수 없는 도덕 원리일 것이다. 따라서 도덕적 상대주의를 살펴보고 거기에는 심각한 문제들이 있고, 상대주의가 그런 결함의 짐을 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Ⅱ. 도덕에서의 자연법 논쟁
자연법 이론은 이성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본성을 바라봄으로써 발견 가능한 영구적인 도덕법이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성은 어떠한 경향성이 우리의 참된 본성의 일부이며, 우리는 어떻게 그것들을 서로 관련지을 수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루이스 포이만, 제임스 피저, 『윤리학: 옳고 그름의 발견』(울력, 6판 2009)
“테러리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