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춘향전의 근원설화
- 최초 등록일
- 2019.12.12
- 최종 저작일
- 2019.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국문학개론 과목 레포트입니다.
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춘향전의 근원설화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사에 대한 방법론적 검토-
Ⅱ. 춘향전의 근원설화(根源說話)
본문내용
○ 판소리계 소설의 현실인식에 최초로 주목한 사람은 「김태준」이다. 그는《조선소설사》를 기술하면서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에 유의하여, 이 작품이 그 시대의 모든 사회층의 생활을 반영하고 있고 특히 근대적 소유관계의 맹아 사물의 시초가 되는 것에 기초해 있는 시민생활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 해방 이후 60년대 중반 무렵까지 판소리 혹은 판소리계 소설 연구를 주도해 온 연구자는 「김동욱」이다. 「김동욱」은 견실한 고증적 방법론에 입각해 있으며 《한국 가요의 연구》와 《춘향전 연구》는 이 분야의 연구에 커다란 진전을 이룩했다. 이 저작들은 여러 부면에 걸쳐 다양한 성과를 보이면서 뒤의 연구자들에게 풍부한 시사와 논의의 출발점을 마련해 주었다.
① 판소리의 생성 혹은 발생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세계관적 기반을 해명했다.
그는 판소리가 「광대의 문학」이라는 전제 하에, 광대집단에 의해 매개된 민중의 현실과 현실인식이 그 속에 탁월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특히 <춘향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검증했다.
참고 자료
한국 문학사(韓國 文學史)의 쟁점(爭點) - 집문당, 장덕순 외
《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476 ~ 496 쪽
《춘향전의 근원설화》511 ~ 520 쪽